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4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가들 "일상에선 신종 코로나 공기 전염 위험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N95마스크는 기름성분에 저항성이 없고 1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
의 미세입자를 95% 이상 거르는 보건용 마스크다. 전문가들은 일상에서는 KF80 마스크(0.6μm 정도 입자를 80% 차단하는 마스크)나 의료용 마스크(덴탈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 ...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와는 다른 새로운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기존 바이러스 유전체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다. 야라바이러스의 유전자 중 일부는
크기
가 큰 박테리아의 유전자처럼 보이지만 관련성은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연구진은 또 동물 조직에서 유두종 바이러스를 포함한 원형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이중 하나는 ... ...
[프리미엄 리포트]어린이 3명 중 1명은 '수면부족'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08
했다. 그 결과 잠이 부족한 쥐 그룹은 잠을 충분히 잔 그룹에 비해 한 달만에 종양의
크기
가 2배나 커졌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수면 부족의 주요 원인인 야간 근무를 ‘암의 유력한 원인’으로 분류했다. 잠을 충분히 푹 자려면 스마트폰부터 재워라 김혜윤 ... ...
[프리미엄 리포트]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2.08
부피와 겉넓이의 비가 10:6이지만,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육면체는 그 비율이 1:6으로
크기
가 작을수록 겉면의 비중이 크게 뛴다. 즉, 퀀텀닷은 입자 표면이 퀀텀닷 전체의 특성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퀀텀닷은 중심 물질(핵)을 껍질(쉘)로 싸고, 껍질에 다시 추가로 리간드*를 ... ...
"스마트 로봇의족 신고 한라산 정상 다시 밟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2.07
종전보다 절반으로 줄였다. "소음이 크다"는 한 유공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결과다.
크기
와 무게도 20% 줄여 편리하게 착용하도록 개선했다. 배터리도 종전보다 손쉽게 교체하도록 고쳤다. 사용자 대부분이 고령인 점을 감안한 조치다. 우 책임연구원은 “유공자들은 20~30년 이상 의족을 ... ...
신종 코로나 등 병원체에 맞서는 림프절 면역반응 조절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6
대한 림프절 세포의 면역반응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신체 기관의
크기
를 결정하는 ‘히포 신호전달경로’가 림프절 면역반응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고규영 혈관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림프절 세포의 작용 메커니즘을 밝히고 ... ...
상어 물고 가는 악어 ‘포착’
팝뉴스
l
2020.02.04
누가 이길까. 상황이나 덩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위 사진에서는 악어가 완승했다.
크기
가 작은 상어의 머리를 악어가 꽉 물고 헤엄치고 있다. 위 이미지는 유튜브에서 화제가 된 영상 중 일부이다. 영상을 보면 사람이 악어를 향해서 물고기를 던져준다. 순간 어디선가 상어가 나타나 그 ... ...
국가유공자들과 함께 개발한 로봇의족 5일 보훈병원서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바탕으로 로봇의족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소음과 발열을 50% 이상 감소시켰다.
크기
와 무게도 20% 줄여서 착용을 간편하게 했다. 사용자 대부분이 고령인 점을 고려해 배터리 탈착방식을 변경해 조작을 쉽게 했다. 우 책임연구원은 “유공자분들은 일반 대상자보다 의족 사용경험이 많아 로봇의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통해 이런 길을 찾았더라도 모든 숙주에게 통하는 건 아니다. 숙주의 유전적 다양성이
크기
때문이다. 어떤 단계에서 바이러스에 취약한 유전형을 지닌 불행한 숙주는 심각한 증상을 겪을 수 있지만 특정 단계의 진행을 방해하는 유전형을 지닌 숙주는 감염 자체가 되지 않거나 감염이 돼도 증식이 ... ...
민물장어 형광단백질 이용해 살아있는 세포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이 필요하다.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은 바이러스나 단백질
크기
의 미시세계를 볼 수 없는 광학현미경의 한계를 극복한 현미경으로 형광 단백질의 상태를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하지만 형광 단백질이 반복적으로 빛에 노출되면 형광이 사라지는 ‘광표백 현상’으로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