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45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마뱀이 꼬리 자르듯 붕괴 시작점만 무너뜨려 건물 전체 붕괴 막는다
2024.05.16
해당 보가 부러지도록 하는 일명 '계층 기반 붕괴 격리' 기술을 15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건물 내 구조물 간 연결을 튼튼하게 하는 것이 재난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구조물들을 튼튼하게 연결하면 구조물의 일부가 손상돼도 다른 구조물로 하중이 ... ...
발사체·핵융합로 극한소재 이정표…표준연, 입자의 물질 형성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물질상 형성의 원인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1일 게재됐다. 앞서 학계에선 과포화 상태의 수용액에서 물질이 결정화될 때 안정된 물질상(相)이 아닌 준안정 상태의 새로운 물질상이 생기는 현상을 발견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실렸다. 1956년 생으로 만 56세인 영 교수는 지난 3월 21일 일본 쓰쿠바에서 열린
학술
대회 현장에서 심장마비로 쓰러진 뒤 회복하지 못했다. 최근 수년 동안 래리 영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집중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의 못다 이룬 꿈을 후배 과학자들이 이뤄내길 바란다 ... ...
'트로이 목마' 전략 쓰는 새 비만치료제…"위고비보다 효과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수 년의 기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15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의 핵심은 신경 가소성으로도 알려진 뇌의 가소성을 활용하는 데 있다. 뇌 가소성이란 새로운 신경 연결을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뇌의 ... ...
원자핵 비밀 엿볼 새로운 핵이론, 국제공동연구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수 있는 ‘파동함수 맞춤’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앞서 학계에선 핵의 성질을 규명하기 위해 계산 의도와 대상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사용했다. 핵력에 기반한 정밀한 계산은 가벼운 핵만을 대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학계는 ... ...
잠잘때 뇌 노폐물 청소? “딱히 그렇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5
마취 중에 더 느리게 제거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신경과학'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깨어있을 때와 수면 또는 마취 상태의 쥐 뇌에서 체액의 흐름을 관찰했다. 형광 염료를 뇌의 꼬리피질(CPu)에 주입하고 염료가 전두엽 피질에 도달하는 과정을 지켜본 ... ...
여성도 사냥했다?… 고고학 통념 뒤집기
과학동아
l
2024.05.15
'D-PLACE'를 활용해 전 세계 391개 수렵채집 사회의 자료를 모아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 (doi:10.1371/journal.pone.0287101) 391개 사회 중 사냥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곳은 63개였다. 연구팀이 사냥 자료를 분석해 남성과 여성의 참여도를 조사한 결과 79%인 50개 사회에서 여성이 사냥 ... ...
2023년 여름, 지난 2000년 중 가장 더웠다
2024.05.15
북반구에서 가장 더운 여름이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연구결과를 1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2023년 여름이 기온이 가장 낮았던 6세기 여름보다 약 4℃ 더 따뜻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1850년에서 1900년 사이의 대기 온도와 해양 온도를 직접 측정해 지구 ... ...
강원 화천서도 관측된 오로라, 더 센 태양폭풍의 '준비운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때문에 앞으로 더 강력한 태양 폭풍이 지구로 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13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지난 10일 밤부터 오로라 현상이 발생한 이유와 후속 태양 폭풍에 대한 과학자들의 예측을 전했다. 과학자들은 올해 말 태양의 활동이 극대기에 다다르며 ... ...
[과기원NOW] GIST, 제2회 해커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4
500시간의 장시간 구동 후에도 가역 구동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에 지난달 12일 게재됐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