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01
쪽으로 방향을 바꾸기 시작했다. 그런데 뜻밖에도 모노폴과 연관이 없어보이던
곳
에서 돌파구가 등장했다. 그건 바로 ‘스핀 아이스’ 라고 불리는 특별한 고체에서였다.스핀 아이스, 모노폴이 숨어있는 수상한 고체과학자들은 1997년 스핀 아이스라는 이상한 종류의 고체를 인공적으로 만들었다.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
과학동아
l
201101
사람과 비슷한 방법으로 적응한다.사람은 높은 산처럼 대기 중 산소 비율이 낮은
곳
에 가면 ‘산소 감지 시스템’을 가동한다. 산소 감지 효소를 분비해 혈액 내 적혈구의 숫자를 늘리는 것이다. 연구팀은 털납작 벌레의 산소 감지 효소가 사람 세포에서도작용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 ... ...
토종 로봇 휴보, 미국-싱가포르 수출
과학동아
l
201101
MIT), 카네기멜론대, 퍼듀대, 버지니아공대, 서던캘리포니아대 (USC). 펜실베니아주립대 6
곳
이다. 또 싱가포르의 IT전문 국책연구기관인 ‘정보통신연구소(I²R)’도 최근 휴보2 두 대를 구입하기로 하고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수출액은 8대를 모두 합해 400만 달러 정도다.휴보센터는 이번 수출로 세계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01
벌레와 두더지 같은 동물들은 땅속에 구멍을 판다. 이때 흙속에는 땅굴이 생긴다. 이
곳
으로 공기와 물이 흙에 스며들고 빠져나간다. 커다란 동물들은 땅을 팜으로써 식물에게 필요한 공기와 물을 제공하는 셈이다. 토양의 먹이그물은 죽어서도 세균과 균류에 분해되면서 땅을 비옥하게 만든다 ... ...
‘2010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체험전'
과학동아
l
201101
적외선 안경을 쓰고는 신기해 했다”며 “놀이를 통해 즐겁게 과학 원리를 배우는
곳
”이라고 소개했다.‘전자기펄스탄(EMP)’을 떨어뜨려 적의 통신을 마비시키는 시뮬레이션 게임도 인기다. 표적지역에 EMP를 투하하면 고출력 전자기 펄스가 방출되고 이것이 선으로 표시된다. 방출된 전자기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01
장군은 평온하고 건강해진 모습이었다. 그래도 장군은 역시 광화문 사거리의 가장 높은
곳
에 위풍당당하게 서서 도성을 지켜야 진짜 이순신 장군 동상답게 보인다. 동상이 다시 광화문 사거리 풍경의 ‘화룡점정’이 될 그날을 기다려본다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과학동아
l
201101
어른벌레(성충)에 집중됐다. 사실 어른벌레는 짝을 찾아 번식을 하고 더 살기 좋은
곳
을 찾아 이주하는 짧은 시기일 뿐이다. 하지만 어른벌레와 달리 애벌레에 관해서는 정확한 분류나 정보가 거의 없다. 모르기 때문에 ‘해충’ 편견 생겨필자는 강원도 횡성군에서 서식지외 보전기관인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01
‘입자영상유속분석기(PIV)’를 예인수조에 도입한 것도 이 연구실이 국내 최초다.현재 이
곳
연구실에서 주력하고 있는 연구과제는 ‘선박손상상태 안전성’에 관한 것이다. 여객선이 태풍이나 암초 등에 어느 정도 파손되더라도 안전하게 떠 있을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는 일이다. 연구팀은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01
따랐고 전자기기의 고용량 축전기, 민감한 화재 감지기, 고성능 적외선 카메라 등 수많은
곳
에서 강유전체가 활용됐다. 최근에는 메모리 소자로의 응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강유전체의 특성을 이용하면 0과 1 두 가지로 상태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사용할 수 있기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01
격리시켜 두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다. 베너 박사는 “비소를 지질 같은
곳
에 모아 두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 박테리아에서 발견된 액포 같은 구조도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비소를 흡수하는 유전자변형 식물을 개발한 이영숙 교수도 이 박테리아의 액포가 비소를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