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앞으로 6개월 동안 궤도를 돌며 갈릴레오 시스템이 채택한 신기술을 시험할 예정이다.이
가운데
위성에 실린 원자시계는 가장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시간당 편차가 10억분의 1초 미만인 이 시계는 지금까지 우주에 쏴 올린 어떤 시계보다 정확하다. 또한 실시간 전송 시험과 정밀도를 높이는 교정 ... ...
11개 중 2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같은 문제를 풀어보라고 한다. “똑같은 모양의 10g짜리 보석들이 들어있는 10개의 주머니
가운데
단 하나만 9g짜리 가짜들로 채워져 있다. 접시저울을 한 번만 써서 가짜 보석이 든 주머니를 찾아라.”에피소드의 원제에서 알 수 있듯이 사건은 천재들의 모임에서 일어났고, 범인 역시 천재로 설정돼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결과는 일치했다.문제는 B씨 혈액과 줄기세포의 핵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다. 48개의 마커
가운데
40개만 일치하고 나머지 8개는 다르게 나온 것. 줄기세포가 정말 체세포 복제 기술로 만들어졌다면 핵 유전자가 완전히 일치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 세포의 정체는 뭘까.황 교수의 2004년 논문에는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때문이다. 같은 뜻이라도 사람마다 쓰는 어휘가 다르다는 것도 교육이 필요한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다. 생각하는 기계를 처음 고안한 사람은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었다. 그는 유명한 튜링 기계를 통해 생각하는 기계의 가능성을 점쳤다. 본격적인 대화기술이 선보인 것은 1995년. ... ...
겨울스포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누워타는 루지나 엎드려 타는 스켈레톤은 공기저항을 최대한 줄인 형태다. 세 종목
가운데
가장 빠른 루지의 최고속도는 시속 148km.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의 최고 시속은 각각 143km와 130km다. 스키점프스키점프는 새가 나는 원리인 양력을 이용한 경기다. 양력은 물체가 공기나 물 같은 유체를 지날 때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TV광고로 내보내 엄청난 마케팅 효과를 올린 사례가 있다.이
가운데
김치와 기능성 약품, 속옷은 선정 가능성이 매우 높은 품목이다. 실제로 한국원자력연구소와 CJ는 현재 우주김치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정읍방사선연구원 이주운 박사는 “2007년 한국우주인이 우주에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리해 생산하는데 성공했다.이 효소는 현재까지 알려진 분해효소들
가운데
가장 정밀하게 단백질을 자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업적으로 생산하면 고가의 단백질 효소와 의약용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할 수 있어 가치가 크다.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할 단백질도 없어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유전자는 외부에서 넣어준 유전자가 기능을 보완해줘 질병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런 병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뇌암이다. 암을 억제하는 기능을 지닌 유전자가 기능을 상실하면 뇌암이 발생한다. 또 파킨슨병도 이렇게 발생하는 뇌질환에 해당한다.특정 유전자에 발생하는 돌연변이가 유전자의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인권, 환경 문제를 외친 멋진 탐험대가 있어요. 전 세계에서 온 여덟명의 젊은 모험가들
가운데
유일한 한국인 참가자, 최재웅 씨. “우연히 신문에 난 폴투폴 모집 광고를 보게 되었어요. 이거다 싶어서 행사 주최자인 마틴에게 수십 차례 이메일을 보내며 꼭 참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지요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포털 게시판에 비해 이들 게시판은 같은 익명 게시판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차분한
가운데
토론과 논의가 이뤄졌다. 모두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었지만 이번 사태에 대한 접근 방식과 입장차는 컸다.최 박사는 “건전한 토론 문화와 함께 게시판에서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았다면 황 교수 논문의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