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KVN 시스템이 갖는 특징인 관측 자료의 고속샘플링, 즉 1초에 10억 회 정도 자료를
기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살려서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전파신호 현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게 된다.이 과정에서 KVN의 원 관측자료는 4MB(메가바이트, 1MB=106B) 정도의 작업단위로 나뉘어 코리아앳홈 사용자들에게 분배된다.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공선정례’에도 고등어의 창자젓을 가리키는 ‘고도어장장해(古刀魚腸臟疫)’가
기록
돼 있다.그런데 고등어를 식용으로 할 때는 한 가지 문제점이 있다. 고등어는 정어리와 함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고기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고등어를 포함한 등 푸른 생선들은 히스티딘이라는 아미노산을 ... ...
The Limits of Internet?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생각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키피디아는 2007년 3월에 기고자 82만 명이라는 최대치를
기록
했다. 이후에는 이 사이트에서 그처럼 많은 편집자가 활동하지 않았다. 카이 박사는 “2009년 중반에 이르러 우리는 이것이 실재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며 “더 이상 위키피디아는 지수적으로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저택으로 쓰였다. 다윈은 이 왕궁이 “멀리서 보기만 해도 외관이 굉장히 아름답다”고
기록
했다. 하지만 박물관에서 다윈과 관련된 전시물을 볼 수는 없었다. 이런 곳에 다윈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니 참 아쉬운 일이다. 앞으로 찾아갈 곳에서는 꼭 다윈을 만날 수 있다면 좋겠다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타낼 때도 분수가 아닌 소수로 표현한다.금리와 같은 경제 지수의 흐름, 운동 경기
기록
, 성적표 등에도 소수가 쓰인다. 이런 자료에서 소수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두 대상의 수치를 비교하기 위해 비례나 통계를 이용하는데 나눗셈이 쓰인다. 그 계산 결과는 딱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라를 거쳐 마침내 집으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장장 16년 7개월에 걸친 여행기를 자세히
기록
해 발표했지요. 걸리버의 여행기는 사람들에게 미지의 세상과 그 안에 숨은 재미있는 원리에대해 알려 주었답니다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비둘기만 한 작은 종류에서 날개를 편 길이가 12m에 이르는 종류까지 다양하다.지금까지
기록
된 가장 큰 익룡 화석은 2002년 루마니아 백악기 후기지층에서 발견된 ‘하체고프테릭스(Hatzegopteryx)’로 양 날개를 편 길이가 12m에 이르고 두개골의 길이만도 2.5m가 넘는다. 미국 텍사스주에서 발견된 두개골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대회는 역대 가장 많은 팀이 참가했으며 인력선과 솔라보트 부문에서 모두 국내 최고
기록
이 갱신됐다. 대회에는 각양각색의 인력선과 솔라보트가 출전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했다. 물레방아 형태의 추진방식을 가진 인력선이 있는가 하면, 선체를 유리섬유 대신 탄소섬유를 써 가볍게 만든 ...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빙은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지난 달 빙은 8.4%에서 조금 올라간 8.9%의 검색엔진 사용률을
기록
했다. 구글은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빙에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신경 쓰지 않는 듯 행동하고 있다. 검색엔진은 구글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이고, 회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계속 자원을 쏟아 붓고 있다.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과학저널 ‘네이처’ 8월 13일자는 크기가 같은 정사면체를 가장 빽빽하게 쌓은 세계 신
기록
을 표지 논문으로 다뤘다.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살바토레 토르콰토 교수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