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겨울 경치가 조금씩 변해 가는 계절이다. 햇빛도 서서히 강해지면서,
나무
에선 초록 잎새가 나오고 남쪽에서는 개화 전선이 북상해 올라온다. 3월 21일은 태양이 하늘의 적도에 위치하는 춘분이다. 점점 밤 시간이 짧아지고, 낮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밤하늘도 1등성이 많은 겨울 별자리들이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온도에서는 눈이 녹지 않아 수막이 생기지 못하므로 마찰이 매우 커진다. 금속 스키는
나무
스키보다 열전도율이 크기 때문에 발생된 열이 쉽게 방출되므로 수막이 생기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금속 스키가 마찰을 더 크게 받는다.스키를 탈 때 우리는 마찰을 줄여 속도를 내지만 비탈을 다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특징은 일반적인 조류와는 다른 용도로 이미 사용됐다. 이 특징은 공룡이 새로 진화한 후
나무
위에서 생활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히 기능이 바뀌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공룡은 오늘날에도 포유류보다도 더 많은 종(種)을 가지고 중생대에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고마[高麗]라고 부른다. 이 외에도 팽이는 여러 나라에서 발견되는데, 종류가
나무
·대
나무
·금속·유리 등으로 다양하다.4 도형 교과서 칠교놀이 창의성 높이는 학습효과 기대도시 미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최근 대형 건축물의 큰 벽면이나 지하철역 벽면 등에서 벽화나 타일조각 그림을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앤드류의 전자두뇌는 뭔가 이상이 생겨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된 것이다. 앤드류는 갖가지
나무
장식이며 가구를 만들어 팔아 주인이 큰 돈을 벌게 해줬고, 주인은 그 돈의 절반을 앤드류 이름으로 예금했다.어느날 앤드류는 주인에게 말한다. "주인님, 저는 제가 가진 돈을 전부 주인님께 드리고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한양의 성문을 여는 시각)에 종을 쳐서 알려주었다.물시계에는 실린더 안에 거북모양의
나무
를 띄우고 여기에 살대를 꽂는다. 물이 쌓이면서 시간을 나타내는 살대(부전 孚箭)가 물의 부력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살대의 끝에 달린 눈금침이 실린더 위쪽에 장치된 측정자의 시간을 가리키게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늦게 떠오르면서 매일 밤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예전에는 달 속에서 계수
나무
와 옥토끼를 보았다지만, 천체망원경으로 달을 보면 크레이터의 벽들과 봉우리들, 산맥과 계곡들이 자신의 그림자를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달의 바다와 산맥들이 펼치는 장관을 생생하게 감상해보자.바다·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둘째 왕인 유리는 한국 역사상 우주왕복 여행을 한 ‘최초의 우주비행사’다. 그는
나무
창틀을 타고는 하늘에 날아오르되, 자그마치 해와 맞닿기까지 올랐다가 다시 지상으로 되돌아온 것으로 고려의 문인 이규보가 지은 ‘동명왕 신화’에서 그려지고 있다. 이것은 시베리아 샤머니즘에서 널리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식물을 감고 올라가는 덩굴식물에서 가장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덩굴식물이 막대기나
나무
또는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갈 때 대부분은 오른쪽 감기이다.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는 종류도 수천 가지나 된다. 어떤 종(種)은 양쪽감기를 모두 가지기도 하지만 대개 한 종은 일정한 방향으로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뜨는 시간에
나무
그림자를 쉽게 볼 수 있는 곳을 정한다. 며칠을 간격으로 해가 뜰 때의
나무
그림자 방향을 기록해 보면 그 위치가 조금씩 변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일년 동안 지켜보면 하지나 동지를 전후로 그림자가 이동하는 방향이 반대로 바뀌는 것도 알 수 있는데 이것으로 동지나 하지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