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아이디어를 제때 기록하지 못해 지금도 가슴 한구석에 아쉬움과 안타까움의 앙금이
남아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더 메모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왕 메모를 습관으로 만들 바에는 좀더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지금까지 소개한 IC 레코더는 이처럼 정말 필요로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미국 유타대의 헨리 아이링 교수가 노벨상을 타지 못한 이유가 지금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아이링 교수는 우리나라 이학박사 1호인 이태규 교수와 오랫동안 공동연구를 벌여왔다. 유체의 흐름을 기술한 ‘리-아이링 이론’을 비롯해 두사람은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와 속도 등에 대한 연구를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궤도가 계산되고 새로운 행성이라는 사실이 굳어지자 이 행성에 이름을 붙이는 일이
남아
있었다. 프랑스의 어느 천문학자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허셜’로 하자고 제안했고 독일의 보데는 ‘우라누스’라는 이름을 추천했다. 하지만 허셜 자신은 새로운 발견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데 서슴지 ... ...
서태지 헤어스타일에 프랙탈이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방에는 옛날 아나사지 족에 의해 세워진 ‘푸에블로 보니토’라 불리는 옛 유적지가
남아
있다. 이 유적지를 조사해보면, 큰 원형 터전에 사각형으로 블록이 나누어져 있고 그 안에 집이 배열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후 아메리카 지역의 가옥배치는 이 유적지의 구조를 본떠 원형과 사각형의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세계를 추적하는 실마리가 될 수도 있다.글자기록이 없는 시대의 문화복원은 현재
남아
있는 극소수의 고고학적 유물과 유적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해석에 따라서 실제와는 엄청나게 다른 모습이 일반인에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암각화는 당시의 생활이나 문화현상을 그림이라는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금까지 약 1백여년 이상 소행성에 대해 연구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소행성은 정확히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지구에서 발견되는 운석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지구에 충돌하기 전에 파괴하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미사일이 필요한가 등의 ... ...
한민족의 상징 백두산 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야생에서 발견된 마지막이었다. 북한에서도 중국과 접경지역인 고산 삼림에 몇마리가
남아
있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만주나 연해주 지역에도 많아야 2백50마리 정도의 야생 호랑이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최근 국내에서 호랑이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이 발견돼 화제가 됐다. 그러나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그 역사에 걸맞게 토양이 보유하는 영양소들이 이미 모두 걸러져버려 황폐한 땅으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어떤 식물군들은 경쟁집단을 도태시키기 위해 이러한 과정을 스스로 유발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호주 환경당국은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들이 서로 어울려 자랄 수 있도록 혼합식재를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해결하는 가장 훌륭한 증거라고 생각했다.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많은 사람의 머리에
남아
있던 편견을 뛰어넘어 모든 대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했다.이로써 천문학에 대한 케플러의 수학적 접근이 구체화됐을 뿐 아니라 물리학에서는 뉴턴과 그의 계승자들의 길이 열렸다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1866년도에 죽은 호랑이 새끼 한마리를 알코올 병 속에 보관했고, 이 호랑이의 체세포가
남아
있기 때문에 복제를 꿈꾸고 있다.태즈메이니아호랑이보다 훨씬 전에 멸종한 매머드의 경우도 복제 가능성이 제기된다. 러시아 시베리아 북부 동토지역의 얼음 속에서 적은 수지만 상태가 좋은 매머드가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