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일"(으)로 총 4,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어느날 갑자기 이 세상에서 모든 시계가 사라져 버린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시계 알람 소리에 잠에서 깨던 사람들은 느지막하게 일어날 것이고, 지각을 일삼던 아이들은 시계가 없어졌다고 좋아할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컴퓨터 게임을 하려고 할 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고, 친구에게 전화를 ...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미꾸라지 용됐다.”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간다.” “미꾸라지 한마리가 물을 흐려놓는다.”우리나라 논과 개울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었던 정겨운 우리 물고기 미꾸라지. 그런데 왜 우리 조상들은 이처럼 미꾸라지를 천대하고 눈살을 찌푸리며 바라봤을까. 추어탕집 수족관에서 솥에 팔팔 ...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과학동아 l2003년 12호
- 태양이 여태까지 기록된 것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의 플레어를 뿜어냈다. 태양 표면에서 가장 드라마틱하고 강력한 활동이 11월 5일(수요일) 현재까지 열흘 동안 지속됐다. 컴퓨터에서 데이터가 밀렸을 때에 일괄해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배치란 다발이라는 뜻으로, 한 묶음으로 해서 처리한다는 것 ...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우아함. 도도함. 유연함. 고양이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다. 그런데 이 목록에 이런 단어들과는 거리가 먼 새로운 단어가 추가될지도 모르겠다. 고양이로서는 불쾌한 일이겠지만 중증호흡기증후군, 즉 ‘사스’(SARS)가 그것이다.지난 겨울과 봄, 세계를 긴장시켰던 사스의 폭풍이 지나가고 연구자들은 ...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는 동력 비행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3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인간을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됐고, 상당한 무게를 띄울 수 있는 추진시스템을 갖췄으며, 하늘을 날 때 자유로운 조정이 가능했다. 면역(免疫)담당세포의 하나 탐식(貪食)세포라고도 불리우며 동물체내의 거의 모 ...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새로운 렉서스 LS430의 특징은 충돌방지장치(PCS)에 있다. PCS는 레이더로 차가 물체에 빠르게 접근하는 상황을 감지한다. 현재 이 장치는 일본에서만 허용되고 있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PCS는 앞 좌석 안전벨트를 조이고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밝을 때 최대 압력을 가한다. 식물의 성장기능을 조절하 ... ...
- 따돌림의 고통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사회적으로 따돌림을 당할 때와 실제 신체적인 고통을 느낄 때, 두뇌의 같은 부분이 똑같이 반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UCLA의 연구팀은 컴퓨터 게임으로 실험대상자가 사회적인 따돌림을 느끼도록 한 후 두뇌 영상을 촬영했다.또래집단은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정서적 기반이 되며 활 ... ...
- 조용한 초음속 비행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1947년 10월 14일, 인간이 처음으로 소리를 따라잡았다. 미국의 척 예거는 이날 벨사가 제작한 X-1 로켓비행기를 타고 모하브사막에 있는 에드워드공군기지를 이륙해 음속의 1.05배, 즉 마하 1.05를 기록했다. X-1은 B-29 폭격기에 매달려 지상 약 3.7km 상공에서 떨어진 뒤, 로켓을 점화해 13km 상공까지 올라 ... ...
- 근대화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1803년 10월 영국 과학자 존 돌턴은 맨체스터 문학 및 철학 협회에서 원자의 무게에 대한 최초의 표를 발표했다. 각 원소들은 일정한 질량과 특성을 갖는 한 종류의 원자로 구성된다는 그의 이론은 근대화학의 기초를 세웠다. 신호의 감쇄나 이득을 나타내는 통신 단위예를들어 음성신호 등은 스스로 ... ...
- 뭉클뭉클, 이 느낌이야!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지난 10월10일, 내리쬐는 햇살이 아직 따갑게 느껴지는 맑은 가을날 대전의 KAIST 캠퍼스를 찾았다. 마침 가을체육대회가 있는지 여기저기 운동복 차림의 학생들이 뛰어다닌다. 권동수 교수의 실험실이 있는 건물 내부의 넓은 공간은 기계공학과답게 거대하고 복잡한 기계들이 마치 찰리 채플린의 ‘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