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DNA고고학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그 변화 정도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아프리카 지역의 여성에게서 얻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의 변화가 가장 많았다는, 즉 가장 오래 됐다는 점이 밝혀졌다. 앨런 윌슨은 이를 바탕으로 현생인류의 어머니가 대략 2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살던 여인이라고 주장했다. 친족끼리 결혼했을지도 하지만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얻은 적응력은 체질적으로 보존된 채. 그리고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아마도 외부
유전자
가 유입됨에 따라 머리뼈의 생김새를 비롯한 체질적 특성이 변화했을 것이다. 이런 연구를 종합하면 한국인의 뿌리는 추운 시기에 동북아시아에 펴져 살던 후기 구석기시대 사람의 한 갈래였으며, 빙하기가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간의 질환 연구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침팬지를 모델동물로 사용해 특정
유전자
를 변형시킴으로써 질병을 일으킬 때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면이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수학과 전산학이 절실하게 필요한 분야로 변한 것이다.
유전자
를 하나씩 자세하게 들여다보는 것이 주업이었던 분야가 갑자기 정보학적인 처리가 핵심이 되는 분야로 바뀌어가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미국의 경우 생물정보학 분야의 전문가를 키우기 위해 흥미로운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종류와 다른 종류가 짧은 시간 안에 분석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인간과 유인원의 차이를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게 해주고, 진화과정과 고등 인식기능의 발달 과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전망된다.미국의 경우 앞으로 2년 후에는 모든 경찰차에서 DNA칩을 용의자 확인에 쓰기로 ... ...
④ 마이크로 프런티어가 해결한 의료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12년◎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헤모글로빈으로 빈혈같은 질병이 치료된다.◎또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쓰인다(2015년).● 2015년◎사람 세포로 만든 인공장기가 실용화된다.◎장기의 특성을 가진 인공세포가 생산된다.(2023년)● 2017년생체에너지 ATP를 동력원으로 하는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들어섰다. 2000년 3월경 인간게놈프로젝트의 90% 이상이 완수되고, 2003년 마침내 인간
유전자
의 비밀문자가 완전히 해독된다. 이미 30여종의 생물 게놈연구는 완료된 상태다. 총 30억달러의 비용 부담을 감수하며 야심차게 추진해온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던져줄까. 그리고 새롭게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는 바로 단백질을 만드는 2%의 DNA를 의미한다. 인체의 단백질이 10여만개가 있으므로,
유전자
의 수 역시 10여만개로 추정된다.1990년 미국과 영국을 필두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인체를 비롯해 여러 생명체의 게놈 염기서열을 규명하는 일을 포함하고 있었다. 15년에 걸쳐 30억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유전질환이나 체질적 특성(예를 들어 간에 알코올 분해 효소가 많다는 점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
만 '골라서' 연구하자는 말이다. 나머지 부분은 다소 어려움이 따르지만 선진국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수밖에 없다. 어차피 우리가 지금 나서도 그들보다 앞서 제대로 된 성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배추를 만드는 권 교수의 목표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권 교수와 연구원들은 비티톡신
유전자
를 담배에 넣는데 성공하고 단백질의 활성을 확인했다. 잎을 먹은 애벌레들이 모두 시름시름 앓다가 죽어버린 것이다.그러나 아직도 갈 길은 멀다. 배추에 직접 적용하고 이를 실제 재배에서 확인해야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