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배"(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설적인 해커, 아브락사스 방랑기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인터넷. 내가 원하는 것을 대부분 이룰 수 있는 이 세상에 발을 들여 놓은 지도 벌써 8년째다. 인터넷 사용자라면 누구나 느끼는 일이지만, 인터넷을 통해 알게된 사람과 많은 대화와 편지를 주고 받다가 실제로 만날 때 느끼는 실망감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마찬가지로 사이버스페이스에 ... ...
- 아보가드로수는 사하라사막에 있는 모래알 수과학동아 l1996년 09호
- 과학시간에 우리는 아보가드로수, 중력가속도, 원자의 크기나 무게 등을 배운다. 원자의 무게는 얼마나 되는 걸까? 우리가 실제로 느낄 수 있는 수치로 바꿔보면 엉뚱하면서도 재미있는 결과가 나온다. 1 아보가드로수(6.02×${10}^{23}$)'접'은 배추나 마늘을 1백개씩 묶을 때, ‘두름’ 은 생선을 20개씩 ...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과학동아 l1996년 09호
-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레이스트래크 밸리에는 거대한 바위들이 편평한 평야에 박혀 있다. 그런데 이들은 어떤 인위적인 힘이 외부에서 가해지지 않아도 바닥에 깊은 자국을 내며 미끄러지면서 스스로 움직인다. 무게가 무려 0.5t이나 되는 돌도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돌이 움직이는 방향이 제각기라 ... ...
-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중부지방의 집중호우로 지뢰가 유실돼 비상이 걸렸다. '땅 속의 사신(死神)', 대인지뢰는 지난 20년간 전세계적으로 1백만여명의 희생자를 냈다. 지구상에는 아직도 1억개가 넘는 지뢰가 묻혀있다. 세계는 이 지뢰를 없애기 위해 사용금지조약을 맺고, 새로운 지뢰찾기 방법을 연구 중이다. 그런데 유 ...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과학동아 l1996년 08호
- 태풍이 제일 많이 찾아오는 8월이다. 생성원리에서 효과까지 태풍의 생리를 이모저모 살펴보자.1. 왜 여름에 많이 발생할까 - 한곳에 뭉친 열에너지 흩뜨린다 해마다 여름이면 열대 지방에 막대한 열에너지가 축적된다. 지구는 한 곳에 모인 이 에너지를 주체하지 못해 신속히 고위도 지방으로 분산 ...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사냥 즐긴 폭군들중생대를 지배했던 육식공룡들은 주로 수각룡들이었다. 수각룡들은 두발로 걸어다니면서 날카로운 이빨과 예리한 발톱을 무기로 다른 동물들을 사냥했다. 그 계보를 살펴보면 트라이아스기에는 헤레라사우루스, 코엘로피시스가 살았다.쥐라기에는 딜로포사우루스, 하드로사우루 ...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6년 08호
- 공룡은 어떤 동물이고, 어떤 삶을 살았을까. 인간이 등장하기 전 1억6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했지만, 공룡이 남긴 유적이라곤 화석밖에 없다. 화석으로부터 역으로 추적해 온 공룡의 삶과 역사, 그 미스터리가 얼마나 밝혀져 있는지 함께 알아보자.수수께끼①거대한 몸, 어떻게 지탱했을까 - 물에 ... ...
-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마술사가 풍선을 터뜨리지 않고 철사를 관통시킬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풍선을 가지고 여러가지 과학적 사실들을 확인해보자1. 바베큐 풍선① 두 개의 풍선을 겹으로 분다.② 안쪽 풍선은 그냥 두고, 겉 풍선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인다.③ 가늘고 곧은 철사로 풍 ...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여름철이 오면 전기 소비량이 증가한다. 또 습기가 많아져 감전사고와 누전이 많아진다. 왜 전기는 고압으로 전송할까. 인간은 전기자극을 어느 정도 견뎌낼까. 습기가 많아지면 왜 감전이 잘 되는 것일까. 함께 의문을 풀어보자. 얼마 전 강원도에서 30대 남자가 목숨을 잃은 사고가 있었다. 그는 ...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우리나라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모았던 프랑스 작가 베르베르의 공상과학 소설 '개미'를 보면 사람들이 개미들의 언어를 터득해 그들과 대화를 나눈다. 그러나 생물학이 하루가 다르게 무서운 속도로 발전한다 해도 과연 인간과 개미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시대가 올까.많은 공상과학 소설들이 그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