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양서류에서 잠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은 빛의 양에 따라 분비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들의
주장
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가로등의 지나친 불빛은 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알을 깨고 막 세상에 나온 거북이는 해변의 밝은 조명에 이끌려 방향감각을 잃기도 한다. 나방은 불빛으로 모여드는데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자신의 이론을 기존의 고전물리학 체계 내에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1911년에는 아예 고전물리학에 들어맞는 제2의 복사이론을 내놓았다. 결국 양자물리학의 포문을 열었던 플랑크 자신은 자신의 변혁이 혁명이 되기를 원치 않았다. 프로이센의 엄격한 학자 집안에서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다음과 같은 내용의 편지를 친구에게 보냈다.“난 신이 약간 왼손잡이라는 이들의
주장
을 믿을 수 없네. 이 실험이 대칭적인 결과를 얻는다는데 대해 큰 돈을 걸 준비가 돼 있네.”이처럼 많은 물리학자들은 이들의 이론에 대해 수식의 장난이라고 무시했지만 미국 컬럼비아대 우젠슝 박사는 이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움직여 복잡한 발음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2002년 과학전문지 ‘네이처’에서
주장
했다. 유전자의 세상에서는 나비의 날개짓이 태풍을 일으키는 셈이다.이제 우리는 어느 때보다 더 정확하게 인간 유전자의 실체를 보고 있다. 유전자 수로 우열을 논하던 시대는 지났다. 우리는 유전자의 정확한 ... ...
구글, MSN 서치에 선두 빼앗길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검색 엔진계의 제왕 자리를 뺏길 수도 있다는
주장
이 제기됐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은 최근 선보인 마이크로소프트(MS) ‘MSN 서치’의 초기 버전을 테스트해본 결과 검색 엔진계의 일인자인 구글이 정상을 뺏길 수도 있다고 뉴사이언티스트 11월 20일자에 밝혔다.이들은 MSN 서치의 검색 기능이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태양흑점 주기가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줘 농작물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
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그들은 이번 연구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들이 조사한 미국 밀의 경우 노스다코타의 한 지역에서만 전체 생산량의 70%가 생산되기 때문에 이 지역 특유의 기후 상태가 전체 밀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크리스 맥마누스 교수는 우세한 손을 결정하는 유전자인 D와 C가 여기에도 관여한다고
주장
한다. 즉 DD형은 언어영역이 전부 좌뇌에 위치하고, DC형은 75%가 좌뇌에, 25%가 우뇌에 놓인다. CC형은 좌우가 반반이다. 한편 언어영역과 운동영역의 위치는 각자 독립적으로 정해진다. 즉 DD형은 둘 다 좌뇌에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관측하는데 실패했다. 하지만 오늘날 어떤 관측자들은 소형망원경에서도 볼 수 있다고
주장
한다. 날씨가 매우 좋다면 구경 200mm 이상의 망원경으로 흐릿한 성운의 배경 빛 사이로 드러나는 말머리 모양을 미약하나마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 ...
"백두대간은 모두 8줄기" 북한이
주장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백두대산줄기(백두대간)가 모두 8개의 산줄기로 이뤄져 있다고 북한의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 가 10월 11일 밝혔다.북한은 이 웹사이트를 통해 백두대산줄기가 백두산의 장군봉( ... 일러왔지만 일제가 우리민족을 말살하기 위해 백두대간이라는 말 자체를 없애 버렸다”고
주장
했다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무엇일까? 쿼크다. 쿼크는 1964년 미국의 물리학자 머레이 겔만이 최초로 그 존재를
주장
했고, 겔만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6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그렇다면 쿼크와 글루온을 중성자나 양성자, 중간자로 결합시키는 힘은 무엇일까? 바로 강력이다. 그렇다면 물리학자들의 임무는 끝난 것이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