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중국 우한대와 공동연구로 파지 오염 해결 방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특훈교수팀이 중국 우한대와 공동연구로 파지 저항성을 갖는 대장균 균주 개발에
성공
했다고 15일 밝혔다. 파지는 미생물에 대해 특이적 감염성을 갖는 바이러스를 말한다. 파지에 감염된 미생물은 생리학적 특성이 크게 달라지거나 심하면 죽을 수 있어 파지 오염은 바이오 화학산업에 치명적이다.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산·학·연 모여 수소기술의 미래 논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물성 변화 없이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을 부여하는 소재 기술을 개발해 제품화하는데
성공
했다. 기존 제품에 추가적인 후속 공정 없이 첨가제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정환 재료연 원장은 "연구원 내 상업적 잠재력을 가진 우수한 아이디어를 지속 발굴하겠다"며 "해외시장 공략을 ... ...
"우주산업 클러스터, 정부보다는 민간이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6월 21일 2차 발사에
성공
한 누리호 발사 장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주산업 클러스터는 민간 주도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 추진하는 사업이다. 발사체 특화지구를 꾸려 민간 전용 발사체 발사장과 엔진 연소시험장을 구축하고 위성 특화지구에는 위성 관련 시험인증과 창업을 종합 ... ...
부정맥 실시간 진단해 치료하는 전자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부정맥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뒤 미세 전기 자극으로 심장 박동을 정상화하는 데
성공
했다. 전자패치를 심장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데는 홍합의 접착 능력을 모방한 하이드로겔 접착제를 활용했다. 토끼 심장 표면에 부착한 뒤 10주가 지나도 부착력이 유지될 정도로 성능이 우수했고 토끼의 ... ...
국내 우주자원 개발 주도권 확보 위해 머리 맞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4
우주 자원 확보를 논의한다. 조 의원은 “한국 미래 먹거리인 달 자원 탐사와 활용의
성공
적 추진을 위해 정부와 국회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우주에서 자원 부국이 될 수 있다”며 “청정하고 무한한 우주자원 확보를 위한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고로(高爐)가 모두 가동을 중단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다행히 4일 만에 고로 재가동에
성공
해 최악의 상황은 면한 모양이다. 그런데 엉뚱하게 서울에서 작은 소동이 벌어졌다. 힌남노가 거제에 상륙하면서 반경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서울도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이라던 기상청의 ... ...
난임 부부에 희소식...정자를 난자로 끌어들이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실시한 결과 소수의 인공 난자들만이 정자와의 융합에
성공
했다. 연구팀은 결합에
성공
한 인공 난자들을 조사해 이 난자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해당 단백질의 유전자를 인간의 배양 세포에 삽입하자 자연 수정과 같은 방식으로 정자와 결합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 ...
국내 첫 자궁이식 수술 시도돼...전세계
성공
사례 드물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9.07
성공
하면서다. 이후 현재까지 영국, 중국, 일본 등 국가에서 100례 정도가 시도됐지만
성공
한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다. 의료 선진국으로 꼽히는 한국에선 오랫동안 자궁이식 수술이 시도되지 못했다. 수술의 난이도 외에도 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현행 장기이식법은 ... ...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연합뉴스
l
2022.09.06
전달했을 때 다리 기능에 어떤 부정적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결과는 대체로
성공
적이었다. 심각한 부작용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신경아교세포가 목표 지점을 이탈해 척수 상부의 '지각 영역'(sensory area)'까자 올라간 환자가 일부 나았다. 이러면 통증을 유발할 수 ... ...
몸길이 6㎝에 태양전지까지 단 '사이보그 바퀴벌레'
연합뉴스
l
2022.09.06
장치와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달아 사이보그 바퀴벌레로 만드는 실험이
성공
했다. 이는 기계와 곤충이 결합해 위험지역을 탐색하는 '로보 곤충' 또는 '사이보그 곤충' 실용화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제시됐다.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에 따르면 '개척연구본부'(CPR) 선임연구원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