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09
필름에 할로겐 원소를 도핑했더니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후
상상하기 어려운 새로운 기술이 유기물을 통해 가능하게 됐다. 구리와 같은 전기를 잘 통하는 도체, 실리콘과 같이 전기가 통하기도 하고 통하지 않게도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가 잘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09
힘에 관한 것입니다.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자연선택’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한
이후
로, 자연선택은 진화론에서는 물론 생물학 전반을 통해서도 가장 독창적이고 중요한 개념으로 평가받아 왔습니다.각양각색의 개체들로 구성돼 있는 어떤 개체군에서 특정 개체들이 다른 개체에 비해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09
스밤메르담의 초상화는 1675년 하루살이에 대한 책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이는
이후
다른 책들에 실린 초상화의 전형이 됩니다. 문제는 이 그림을 죽은 렘브란트가 그렸다고 알려진 것입니다.렘브란트는 스밤메르담의 초상화가 처음 등장한 해보다 6년 앞서 1669년 죽었습니다. 그런데 툴프 박사의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09
진화의 오랜 역사를 통해 생겨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인간은 지구에 등장한
이후
로 외부 유전자의 ‘공격’을 끊임없이 받았다. 이때 자체 방어 차원에서 생겨난 것이 바로 메틸화에 의한 유전자 억제라는 설명이다. 외부 유전자가 정상 유전자 사이에 끼이면 이 유전자 앞뒤로 CpG를 붙여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09
결국 1866년 독일의 지멘스가 전자석을 이용하는 발전기를 발명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오늘날 사용하는 대용량 발전기의 시대가 펼쳐진다. 전기 생산에서 사용까지 핵심 담당하는 중전기기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거미줄망처럼 깔려있는 전력망을 통해 각 가정에 배달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 ...
5 햇빛 받으면 전기 발생시키는 염료
과학동아
l
200309
들어서였다. 당시 태양전지는 최초의 유인우주비행선인 스푸트니크호 등에 장착됐다.
이후
항공우주산업의 중요한 에너지원이 돼왔다. 그리고 1970년대에는 오일파동으로 태양전지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됐다. 현재 많은 석유회사들이 태양전지 자회사를 설립해 연구개발과 생산에 참여하게 된 것도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09
버랫이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해 안개를 흩어지게 한 것이 최초의 안개소산 실험이다.
이후
스웨덴의 베르저론과 독일의 핀다리센은 1933년과 1935년에 각각 드라이아이스를 공기 중에 뿌려주면 안개 속 입자들이 빙정이 돼 땅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한편 1938년 미국 MIT의 휴그톤은 ... ...
저작권 지키는 숨은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309
수 있었다. 이때 ‘젖어있을 때 하는 표시’라는 의미로 워터마크라는 용어가 생겼다.
이후
워터마킹 기술은 군사적 목적의 통신문이나 비밀편지에 특수잉크 또는 약품 등을 사용해 받은 쪽에서 특별한 처리를 해야만 볼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쓰였다. 현대에도 워터마킹 기술은 널리 쓰이고 있다.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09
일정시간 내에만 작동되고 자동적으로 기록이 지워지게 된다.무엇보다도 유기물질은 DVD
이후
의 새로운 광기록매체을 만드는데 중요하게 쓰일 전망이다. 현재의 DVD와 같은 광기록 방식은 레이저빔의 파장을 줄여서 좀더 빽빽하게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레이저빔의 파장을 줄이는 까닭은 레이저빔의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09
이 개념은 에드워드 로렌츠가 기상 현상에서 카오스 현상을 발견함으로써 확인됐다.
이후
기상학자들은 기상 현상에서 강한 비선형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했다. 이 비선형성은 중국 베이징에 있는 나비의 날개짓이 다음달 미국 뉴욕에서 폭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나비효과로 종종 표현된다.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