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1. 1948년의 세 천재 위너 샤논 노이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헝가리에서 태어나 어릴 적부터 수학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던 노이만은 학업을 마치고 불
안정
한 정치 상황을 피해 오스트리아와 독일 등지를 전전하다가 1930년 미국으로 건너갔다.2차대전이 터지자 친구의 권유로 핵폭탄 개발계획인 맨하탄 프로젝트에 참여한 그는 원자폭탄의 개발과정에 깊이 ... ...
다이아몬드를 태우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8개가 돼야 하는데, 4개의 전자가 모자란다. 아니면 4개의 전자를 내주는 것이
안정
하다. 한편 산소는 원자가전자가 2개 모자란다.만일 산소원자가 2개가 있으면 산소에게 모자라는 원자가전자는 4개가 되고 탄소원자가 필요로 하는 전자수도 4개가 돼, 둘은 딱 들어 맞게 된다. 탄소가 전자 4개를 ... ...
온실가스 감축 결의한 선진국의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이렇듯 자신만만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유럽연합에 속한 대부분의 국가는 이미 에너지
안정
화가 이루어졌다. 기술개발을 서두른 덕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주범인 화석연료가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북해 유전에 깨끗한 연료인 천연가스를 보유한 것도 큰 힘이다. 그래서 이산화탄소 ... ...
녹였다 다시 쓰는 주머니 난로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결정이 석출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중탕 가열한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은 매우 불
안정
하기 때문에 약간의 자극을 주면 한꺼번에 결정이 석출된다. 실험에서 자극을 준 것이 바로 금속판을 앞뒤로 꺾어준 것이다. 금속판을 꺾는 충격으로 결정이 생기면서 저장하고 있던 열이 한꺼번에 방출되기 ... ...
엄마손은 약손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손으로 따뜻한 온기를 전해줘 배를 따뜻하게 해주면 차가운 상태에 놓여있는 배가
안정
돼 배앓이가 치료되는 것이다.엄마의 기 받아 아픔 사라져배를 쓰다듬어 주면 자연히 내장이 자극돼 장운동이 활발해지고 배아픔이 사라진다. 한의학에서는 흔히 위와 장이 약한 사람에게 배 부위를 둥글게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이어도가 이제 첨단 과학기지로 거듭나려 하고 있다.2천년에 완공될 과학기지는 기지의
안정
성이나 미관, 그리고 활용도 등을 고려해 자켓형 구조물로 설계됐다. 이는 해상에서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자원을 생산하기 위해 설치된 구조물과 같은 원두막 형태다. 규모는 해난사고시 구난기지로도 ... ...
방사성 폐기물의 실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있다. 경수로가 중수로보다
안정
성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특히 세계적으로 기술력과
안정
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국형 경수로가 북한에 설치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우리나라에는 현재 고리 1호기(1978년)를 비롯 10개의 경수로, 월성 1호기 1기의 중수로가 있다. 또 경수로인 울진 3, 4호기와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됐다는 점에서 선택의 폭이 넓어진 셈이다.그래픽카드/통합 그래픽카드체크 포인트 :
안정
성 - 단독 제품, 가격 - 통합 제품3D 그래픽 지원 기능 살펴라컴퓨터에서 처리한 내용을 모니터에 보여주는 그래픽카드 역시 짧은 기간 동안 무척이나 많은 변화를 겪었다. 올초 그래픽카드 시장은 TV 수신, ... ...
화성운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밝히기 위해 미국 애리조나주의 플랙스태프에 천문대를 건설했다. 플랙스태프는 대기가
안정
적이어서 화성을 아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그는 화성을 관측하면서 그 결과를 그림으로 남겼다.그런데 그의 그림에서는 화성 표면에 운하 같은 것이 그물코처럼 많이 연결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
노벨생리·의학상/프루시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구조를 변화시켜 자신의 영역을 넓혀나간다. 이 ‘질병 프리온’의 구조는 매우
안정
적이어서, 유기용매나 1백℃ 이상의 고온에서도 잘 파괴되지 않는다.그러나 앞으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점들이 많이 남아 있다. 첫째 프리온 유전자를 제거한 실험용 쥐는 외관상 정상이었다. 즉 ‘정상 프리온’이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