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16년 2월 22일자에 발표하기도 했다. 쓰던 약에서 ‘로또’ 찾는다동물실험을 아예 거치지 않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부터 약 개발을 시작하는 방법도 최근 각광받고 있다. 기존 약품의 농도 등을 변화시켜 다른 질환 치료에 적용해 보는 방식으로, ‘신약 재창출(Drug repositioning)’이라고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무조건적인 제한이나 금지보다, 가능한 파괴적 결과를 예민하게 고민하면서 창조적인 방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독자 여러분은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시나요? 보통은 학교와 학원에서 선생님의 수업을 듣고, 문제집에 들어있는 수많은 문제를 풀어보지요. 그래서 수학자들 ... 수업을 진행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업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다. 또, 그동안 축적된 건강검진 데이터로 개인에 따라 걸릴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해 예방할 수도 있다. 오늘날보다 안전하고, 편하고, 건강한 장밋빛 미래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나의 생각과 감정을 누군가가 훔쳐보고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지만,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그 차이는 매우 사소할 거예요. 따라서 P-value만 믿고 마치 통밀빵 20개만 먹으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해서는 안 됩니다. 연구 결과를 볼 때 이런 문제점은 없는지 한 번 살펴보세요. 연구가 과장되지는 않았는지, 이런 결과를 가져온 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닌지 꼼꼼히 따져보길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어두운 그림자과도한 경쟁적 분위기는 사회경쟁적인 측면에서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 예를 들어, 경쟁에 목매는 언론 환경이 불러일으킨 결과는 아주 치명적이다. 온통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기사가 넘쳐나고 일부 언론사는 허위기사도 서슴지 않는다. 심리학자 알피 콘은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말로, 외부 인력을 활용해 보안성을 강화하는 개념이다.크라우드 시큐리티의 대표적인 예로는, 기업 등이 자사 서비스 제품의 보안성 강화를 위해 제로데이 취약점을 찾아 신고해준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버그바운티(Bug Bounty)’가 있다. 외국의 경우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페이팔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남을 도와줄 때 그 당사자의 적합도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벨딩땅다람쥐(Belding’s ground squirrel, 위 사진)는 포식자가 나타나면 경고음을 내서 다른 개체들이 피신하게끔 도와준다. 모두 혼비백산하는 난장판을 연출해서 포식자를 혼란시켜 결국 경고음을 낸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볼 수 없다”고 일갈했다.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게 산업디자인의 최종 목표예요. 따라서 그 기업이 가진 기술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최선의 디자인을 해야 합니다.”기업의 기술력까지 드러내는 디자인실제로 그가 디자인 철학으로 꼽는 ‘3T’의 마지막 T가 테크놀로지다. “내일(Tomorrow),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싶기 때문이지요.또한 중력파를 이용하면 또 다른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채울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천문학자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해 하고 있어요. 중력파 연구를 통해 이 답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답니다.현재 우리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망원경으로 우주를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