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강하게 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doi:10.1176/appi.ajp.157.8.1279).2009년 6월에는 스위스 제네바대 연구팀이 최면 상태로 인한 거짓마비 상태에서 뇌속 운동피질이 활성화됐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뉴런’에 발표했다(doi:10.1016/j.neuron.2009.05.021).2016년 7월에는 최면 상태가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명과학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전시회, 쇼가 열리고요, 저녁에는 분위기 있는 펍(Pub)에 앉아서 연구자들과 과학 얘기로 수다를 떨 수도 있습니다. QIB는 이 기간에 새로 지은 건물의 내시경 검사시설을 대중에게 홍보한다고 해요. 무서운(?) 분들은 연구 중인 식품을 보관하는 영하 40℃의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김창규◈작가 및 번역가로,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 ... 그리고 간단하면서도 두렵고 무거운 한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그는 고대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반드시 살아남아야 했다. 이제 그가 바로 역사였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화] 우주를 향해 로켓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올라갈 수 있는 거랍니다. 이 힘을 ‘추력’이라고 해요.100t이 넘는 로켓이 위로 오르기 위해선 엄청난 양의 가스가 한꺼번에 뿜어져 나와야 해요. 그래서 로켓 안에 있던 연료를 불로 태워 고온·고압 상태로 만들지요.고온·고압 상태인 가스는 압력이 낮은 쪽으로 나가려는 성질을 갖고 있어요.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부드럽게, 더 부드럽게!흔히 ‘로봇’이라고 하면 ‘딱딱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기계장치’가 가장 먼저 떠올라요. 강한 로봇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실제 생물을 따라 ...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리가 짧아 보이기도 해. 다리 길이가 다른 건 카메라를 정면에서 찍지 않고 정면보다 위 또는 아래에서 찍기 때문에 나타나는 ‘원근 왜곡’ 현상이야. 사진을 찍을 때는 물체가 얼마나 떨어져 있냐에 따라서도 배율이 달라져. 이것을 ‘종배율’이라고 해.렌즈에 가까이 놓인 물체는 상의 길이가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비행기를 이용해 물품을 조달할 것이며, 해군은 배를 이용할 겁니다. 따라서 공군은 하늘 위에서 안전하게 조달할 방법을, 해군은 파도나 물결의 세기 등을 고려해 조달할 방법을 찾아야겠지요.장교를 꿈꾸는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미래에 군의 리더가 되려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물에 포함된 철 성분이 산화하면서 빨갛게 보이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지만 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어디서 흘러오는 지는 미스터리로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투기가 빛을 반사해 적에게 노출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최적의 전투기 모양을 찾는 데 쓰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Part 2. 수학, 음악을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백 교수는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나노발전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실제 응용성에 큰 비중을 두고, 주변 환경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기기를 들고만 다녀도 충전이 저절로 될 것이다. 그는 또 “자연에서 일어나는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