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능력의 또다른 척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2)무섭다 (3)모르겠다.4.귀여운 동생이나 동네 꼬마가 있다. 나는 그애들을 _____(1)
자주
쓰다듬어 주고 안아준다(2)좋아해도 그냥 모르는 척 지나간다.5.내가 평소에 마음에 드는 친구가 저쪽에서 걸어오고 있다. 이럴 때 나는 친구에게 _____(1)웃으며 "안녕"하고 반갑게 인사한다(2)모르는 척 한다(3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위해 필사적으로 싸우듯 실험에 임했다. 그의 연구실에는 세미나가 없었다. 대신
자주
실험실을 순회하며 학생들로부터 연구결과를 보고받고 지시를 내리곤 했다. 입자-파동 논쟁이제 J. J. 톰슨이 전자를 어떻게 발견했는지 살펴보자. 새로운 발견은 거인의 어깨 위에서 이뤄진다는 말대로, 전자는 ... ...
마이다스동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등 ‘생활 친화적인’ 내용들로 꾸며져 있다. 다만 소비자시대가 월간이어서 내용을
자주
개선할 수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마이다스동아는 지난해 말 금융상품, 가전 상품 등에 대한 전담 취재팀을 구성했다. 8가지로 세분해놓은 건강정보도 마이다스동아일보의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일하는 과학자들이 ‘매스컴 교수’, ‘연예인 박사’ 등으로 불리며 비판의 도마에
자주
오르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물론 소신도 없고 충분한 학식도 없는 과학자가 그렇다면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지만, 실력있는 과학자들까지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다.세이건의 사망 ... ...
인류 최고의 기호품' 인가 '마약'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때문에 병충해나 교배, 영양생리 등 식물학 연구나 유전공학의 형질전환(유전자 조작)에
자주
이용된다. 지난 90년 서울대 홍주봉박사가 담배잎에서 인슐린을 뽑아낸 일은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진 대표적인 예다. 홍박사는 당시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를 토양미생물인 아그로박테리아에 먼저 이식한 ... ...
백상어 보호 작전 개시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경우를 말한다 주증상으로는 떨리고 안절부절 못하고, 두통이 나타나며, 숨이 가쁘고
자주
놀라곤 한다우주를 채우고 있는 보이지 않는 물질 은하계 외곽을 도는 별의 속도를 관측해 보면 은하계에 속한 모든 별의 질량을 합한 것보다 큰 어떤 물질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까지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만들기도 했다어형수뢰의 준말 잠수함 외에 수상함정이나 항공기 등에서도 발사된다
자주
력(self-propellant)에 의해 일정한 수심을 뚫고 날아 표적(대개 함선의 밑부분)에 명중하도록 돼 있다 어뢰는 함포에 비해 발사장치가 간단하다페스트'라고도 불리는 흑사병은 간균인 페스트균이 일으키며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자란다’고 한다. 옛 어른들은 곡식이 주인의 발소리를 알아듣는다고 생각했다. 주인이
자주
밭에 나가 보살펴야 소출이 많다는 의미도 있겠지만, 보살펴주는 주인의 발소리에 행복을 느껴 곡식들은 더 잘 자랄 것 같다. 지금도 모내기를 하고 들에서 한바탕 사물놀이를 하는 마을이 있다.그렇게 ... ...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오는 일은 피할 수 없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발의 감각이 무뎌지고 제멋대로 움직여져
자주
여기저기에 부딪혀서 멍들기 일쑤다. 또 발은 심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혈류 장애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다. 그 결과 발에 염증이 잘 생기고 심하면 피부가 썩어들어가는 현상이 진행된다. ... ...
1. 산업용 로봇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만화 등 허구를 통해서 아무 불평없이 인간을 위해 일하는 ‘인간 아닌 존재’ 로봇을
자주
만나고 있다. 이같은 상상력이 처음으로 구체적 특성을 가지고 나타난 것은 1922년 체코의 희곡작가 카렐 차펙이 쓴 ‘롯섬의 유니버설 로봇’이란 작품을 통해서였다. 로봇이란 강제 노역을 뜻하는 체코어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