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7년 로저 클렘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신경과
교수
팀은 여러 연령대의 쥐를 대상으로 전전두엽피질과 편도체간의 신경회로 특성을 분석했다. 이 중 사람의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생후 35일된 쥐를 분석해보니 전전두엽피질 뇌세포가 편도체에 있는 억제성 ... ...
"목성의 달 이오의 화산활동 45억7천만년 전 시작됐다"
연합뉴스
l
2024.04.19
유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캐서린 드 클리어
교수
팀은 19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이오의 희박한 대기 중 기체를 관측, 황(S)과 염소(Cl) 함유 분자의 안정적인 동위원소들의 비율을 분석,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 ... ...
"플라스틱 분해 효소로 지속가능한 지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기업이 만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소통하게 도와야 한다고 했다. 첸
교수
는 생물공학 분야 연구자들이 부작용을 발견하면 연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지라도 연구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 ...
비틀고 구겨도 멀쩡한 '스트레처블' 에너지 저장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접고 구겨도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김진곤
교수
는 "레이저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공정 속도도 빠르다"며 "신축성이 우수한 에너지 저장 소자를 개발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 ...
"한국인 유전체DB·데이터 분석장비 절실"…생물공학 차세대 연구자들의 '일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좋겠다는 생각으로 연구에 정진하고 있다"며 포부를 밝혔다. 이상민 POSTEC 화학공학과
교수
가 마이크를 들고 의견을 밝히고 있다. 한국과학기자협회 제공 ... ...
파리 날개 근육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곤충의 신체가 작동하는 다양한 방식을 아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킨스
교수
는 "후속 연구로 곤충의 뇌신경계 연결지도(커넥톰)가 개발돼야 한다"며 "비행하는 과정에서 뇌가 곤충에게 어떤 명령을 내리고 신체가 이를 따르는지 확인하면 곤충의 비행 제어 회로에 대해 더 자세히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모델이 제안됐지만 모든 관측값과 양립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프리드먼
교수
는 "표준 모델이 어디서 무너지는지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과기원NOW] DGIST, 순적색 초고효율 피부부착형 발광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국제학술지 ‘메터리얼스 투데이’에 4월 온라인 게재됐다. ■ KAIST는 김우연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단백질과 분자 사이 상호작용을 고려해 활성 데이터 없이도 타깃 단백질에 적합한 약물 설계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신규 약물을 발굴하려면 질병 원인인 타깃 단백질에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6G 코어네트워크 신호처리 속도 높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고남석 ETRI 모바일코어네트워크연구실장(왼쪽에서 3번째) 및 연구진과 헬싱키대
교수
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ETRI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9일부터 사흘간 핀란드 오울루에서 열린 ‘6G 심포지엄 스프링 2024’ 전시회에서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ETRI는 ... ...
이공계 학생 "꿈보다 현실의 벽 마주해"…김빛내리 "무슨 실험 중단해야 하나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현장 참석자들의 논의가 비공개로 이어졌다. 2부 발제를 맡은 최병호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
는 신진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우수 중견 연구자를 확보해 학을 세계적 수준의 연구 허브로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학·기업·지자체 등 다양한 국가 요소 간의 협력을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