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보
뉴스
비평
보도
논설
내용
기술
뉴스
"
기사
"(으)로 총 6,55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뇌는 외국어 학습 능력이 적다?”...그래도 영어 잘하는 방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6.10.06
외국어 빨리 배우는 사람의 뇌, 뭐가 다른지 보니 (동아사이언스, 2016년 1월) ☞(관련
기사
) 외국어 잘하는 사람은 뇌가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2006년 6월) 차이 연구원은 “이 연구는 개인별 뇌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능력의 차이를 이해하는 첫 걸음”이라며 “사람들의 학습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부른다. 학술지 ‘네이처’ 8월 18일자에는 ‘플라스틱 해양’이라는 제목의
기사
가 실렸다. 세계 바다가 플라스틱에 얼마나 오염됐는가를 그래픽 자료에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충격적이다. 2014년 학술지 ‘플로스 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오늘날 바다에는 5조 개가 넘는 플라스틱 조각이 ... ...
기장은 왜 공항으로 비행기를 돌리지 않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이
기사
는 최근 개봉한 영화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에 대한 스포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9월 28일 개봉한 영화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은 미국에서 실제 있었던 비행기 추락사고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다. 2009년 1월 승객과 승무원 155명을 태우고 뉴욕에서 출발한 유에스 에어웨이(US Airways ... ...
수학자는 수학 문제를 어떻게 풀까?
수학동아
l
2016.10.03
수 없는 문제도 풀고, 생애 첫 논문도 쓸 수 있다. 이밖에도 수학동아 10월호 특집
기사
에서는 수학자의 독특한 연구 방식을 만나 볼 수 있다.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에서는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의 예시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다. ... ...
중국, 올해도 노벨상 받을까?
2016.10.03
자부심을 드러낼 수 없어 약간 곤란한 듯 보인다. 또 작년과 다르게 '띄워주기 식'
기사
는 찾아볼 수 없다. * 중국계 학자의 과거 노벨상 수상 현황 1957년 미국국적 이정도(李政道) 노벨물리학상 수상 1957년 미국국적 양진녕(杨振宁) 노벨물리학상 수상 1976년 미국국적 딩자오중(丁肇中) ... ...
한국이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하는 이유?!
2016.10.02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 차근차근히 다시 읽어봤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분명 과거의
기사
인데도 불구하고 지금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아주 유용한 이슈가 많더군요! 그래서 지금부터 이러한 뉴스들을 쏙쏙 뽑아 다시 읽어보려 합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핵심만 쉽고 재미있게 카드로 안내하려 ... ...
집에서만 맛볼 수 있는 술맛 1: 막걸리 편
2016.10.01
GIB 제공 그래서인지, 적당한 음주는 생활과 건강에 활력을 준다는 국내외 의학 연구
기사
를 접할 때면, ‘그래서 약주(藥酒)라고 하나보다’라고 생각하며 위안한다. 그와 동시에 오늘처럼 가을비라도 내리는 날이면 신 김치를 송송 썰어 밀가루와 튀김가루에 적절히 풀어서 냉동 오징어라도 한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01
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지진 도착 23초 전에 경보하는 성능을 보였다(과학동아 2015년 6월호
기사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참조). 지진이 발생한 지 9분이 지나도록 긴급재난문자를 보내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는 국민안전처도 실은 2020년까지 경보 시간을 10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을 발표한 ... ...
주입식 교육은 NO! 놀면서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0.01
참여하고 소통하는 재미 외에 또 어떤 것을 배울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 (관련
기사
) 당신의 자녀가 마인크래프트를 해야 하는 3가지 이유 (2016년 7월) ... ...
[연구자율성 높이자] 노벨상 수상자 104명 연구비 최초 분석
과학동아
l
2016.09.29
빛을 발하는 영역은 연구 목표가 뚜렷하고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분야다. ※이
기사
는 동아사이언스 탐사취재 일환으로 진행된 과학동아 10월호 특집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중 일부를 발췌, 게재한 것입니다.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