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디서나 편안한 잠 ‘턱 받치는 해먹’
2016.09.21
nodpod)는 대단히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얼굴 해먹’이라 불리는 이 특허받은 제품의
원리
는 간단하다. 턱을 당겨 시트에 붙게 만드는 간단한 장치다. 미국 켄터키의 폴라 블랭캔쉽은 수년 동안 출장을 다니면서 수면 문제로 고통을 받은 끝에, 턱받침 해먹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제품은 현재 ... ...
다이어트 최대의 적 ‘식탐’ 잡는 단백질
원리
찾았다
2016.09.20
교수팀은 뇌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단백질 ‘AMPK’가 식욕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원리
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인간의 본능인 식욕을 조절하는 것은 뇌다. 음주나 수면, 생리주기에 따라 식욕이 달라지는 이유도 식욕을 조절하는 뇌의 시상하부가 이 모든 것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기 ... ...
형광 빛으로 ‘착한 미생물’만 손쉽게 찾아낸다
2016.09.19
탐침물질과 미생물, 효소가 만나면 24시간 안에 미생물이 동그란 모양의 형광을 내는
원리
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이 스마트폰 사진 촬영만으로 쉽게 원하는 미생물을 찾을 수 있다. 반대로 미생물을 이용해 원하는 기능을 가진 효소를 찾아내는 것도 가능하다. 300여 종 ... ...
붉은 빛 이용해 암 조직 파괴하는 물질 개발
2016.09.19
것으로 나타났다. 권태혁 교수는 “활성산소를 잘 만들어내는 분자를 개발하고 그
원리
를 정확히 규명했다”며 “이 연구성과가 효과적인 광감각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학회지 9월호에 발표됐다 ... ...
[추석에 읽는 수학] 나도 혹시 스마트폰 중독?!
2016.09.16
것이 바로 이 때문이죠. 사람들은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하고 더 잦은 자극을 찾게 되는
원리
입니다. 자극이 더 강해지면 중독도 더 깊어집니다. 스마트폰에 중독되면 사용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몇 시간이라도 사용을 못하면 불안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요. 이탈리아 국가연구진흥원의 루카 ...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송지호’만 같아라
2016.09.15
불길이 초가에 옮겨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그 열기를 집 내부로 다시 들여보내는
원리
가 숨어 있다.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항아리 굴뚝(왼쪽 사진). 영화 ‘동주’에 나왔던 정미소. - 고종환 제공 가옥 형태는 19세기를 전후하지만, 마을의 역사는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곳은 양근 ... ...
지진 경보, 日에선 수십초 전에 받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6.09.13
4㎞ 정도다. 속도가 빨라 먼저 도착하는 P파를 빠르게 감지하면 조기경보가 가능해지는
원리
다. 이런 첨단 지진 경보 시스템을 구축한 건 일본이 처음이다. 이성태 기상청 지진화산정책과장은 “국내 기상청의 지진 조기경보는 자동 지진 감지 시스템에 의한 정보라 부정확할 수 있고, 국민안전처 ... ...
집 비우는 추석 연휴 반려동물 어떻게 하나
2016.09.12
대비 괜찮은 성능을 보입니다. 신선한 물을 마실 수 있게 조금씩 새로운 물이 채워지는
원리
죠. 강아지의 경우 사료 먹는 양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해 며칠동안 먹을 사료를 한꺼번에 주고 온다면 폭식을 할 우려가 큽니다. 사료 역시 자동 급식기를 이용해 제공하기를 권하고요. 고양이는 사료 양을 ... ...
원자두께 소자 차곡차곡 덧대보니… 전류 효율 ‘쑥’
2016.09.12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2차원 소재를 겹겹이 쌓았을 때 전류가 흐르는 과학적
원리
를 규명해냈다고 12일 밝혔다. 2차원 소재는 너무 얇아 실제로 반도체 등 전자소재로 만들 때는 여러 겹을 겹쳐 사용한다. 그러나 여러 겹의 소재를 겹쳤을 때 어떤 전기 현상이 일어나는지 자세히 알지 ... ...
세계에서 가장 굴절률 높은 신소재 나왔다
2016.09.06
현미경 등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 교수는 "물리적 현상과 수학
원리
를 결합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8월 30일자에 게재됐다. 수학적 공간채움의
원리
. 1차원 직선을 구불구불 둘러 2차원 면을 가득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