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저는 웜홀이 있다고 믿습니다”
2015.05.20
동료들이 20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까지 웜홀을 통해 무사히 갈 수 있도록
이론
적 배경을 만들어 줄거리의 진행을 도왔다. 그렇다면 손 교수는 웜홀의 존재를 믿고 있을까. “웜홀이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음의 에너지’가 필요해요. 저는 이 음의 에너지를 웜홀을 유지할 만큼 ... ...
성게 모양 그래핀으로 ‘슈퍼 전지’ 만든다
2015.05.18
결과 기존 탄소 소재보다 전기 저장용량이 3~4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래핀의
이론
적인 전기 저장용량에 가까운 수준이다. 특히 충방전 속도의 경우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이차전지에 비해 100배 이상 빨랐다. 손정곤 선임연구원은 “이차전지에 비해 전기저장용량은 아직 부족하지만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있다. 특히 아저씨뻘인 패러데이를 존중하고 수학을 모르는 그의 실험적인 발견을
이론
적으로 구현해 낸 맥스웰의 온유한 태도는 비단 과학계만이 아니라 우리들 모두에게 시사하는 점이 크다. ... ...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유전자 80여 개가 결정
2015.05.17
결정하는 유전자가 새롭게 발견됐다. 유전적 요인이 고유의 생체리듬을 결정한다는
이론
은 있었지만 얼마나 많은 유전자들이 수면리듬에 관여하는지는 뚜렷이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에란 터버 영국 레스터대 유전학부 교수팀은 초파리 유전자를 분석해 아침형과 저녁형 인간을 결정하는 단서를 ... ...
망상과 이상 행동 부르는 조현병 조기 진단 가능성 찾아
2015.05.17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뇌신경섬유지도를 ‘그래프
이론
’으로 분석했다. 그래프
이론
은 복잡한 구조를 분석할 때 쓰이는 수학적인 기법으로 분석하려고 하는 대상을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 형태로 치환해서 특징을 분석·비교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조현병 의심 증상을 나타내는 젊은이들은 ... ...
韓 연구진 “힉스 이후 최대 성과” 수확에 기여
2015.05.14
물리학에서 입자가 이렇게 다른 물질로 변하는 과정을 ‘붕괴’라 한다. 물리학자들은
이론
적으로 B중간자가 뮤온이라는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0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 ...
ADHD에 대한 오해 5가지 공개…“ADHD 앓으면 성공하기 어렵다? NO!”
동아닷컴
l
2015.05.12
바 있다. 그런데 이런 연구 결과가 사회문화적 편견에 의해 도출된 것일 수 있다는
이론
도 있다. 여자아이들의 경우 ADHD 증상이 ‘내면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있는데 과잉행동으로 정의되는 증상들이 특히 여자아이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들이다. 미국 ADHD 지원센터는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세포의 형태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린 마굴리스의 연속 세포내공생
이론
은 각론에서 다수가 버려졌지만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공생 가설은 더 확고해졌다. 그럼에도 여기에는 해결하지 못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바로 지금까지 알려진 원핵생물을 놓고 봤을 때 원핵생물(또는 ... ...
인공피부는 호크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
2015.05.08
㎞ 들어 올린 뒤 내동댕이치겠다는 악당 울트론의 지구 멸망 계획은 다소 황당하지만
이론
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름 100㎞의 도시를 성층권 높이인 약 30㎞까지 들어 올려 자유낙하 시키면 전 지구적인 피해는 아니더라도 한 국가에 치명적인 피해를 ... ...
남보다 2배 빨리 노화, 조로증 원인 밝혔다
2015.05.03
아직 명백히 밝혀져 있지 않다. 체세포 돌연변이, 노화 예정설, 세포 사멸 등 다양한
이론
이 존재하지만 명백하게 정설로 굳어진 것은 아직 없다. 후안 카를로스 이집수아벨몬트 미국 솔크연구소 연구원팀은 중국과학원과 공동으로 헤테로크로마틴(이질염색체)의 고장이 노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