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번 등돌린 사람, 다시 친해질 수 있을까
2016.01.26
한다. 현실과 동떨어질 수도 있는 ‘믿음’이 뭐 중요할까 싶기도 하지만 믿음은 종종
우리
의 행동을 가이드하고 특정 결과를 예견하기 때문에 실은 꽤 중요하다. 심리학자 캐롤 드웩 등의 연구에 의하면 지능은 정해져 있으며 아무리 노력해도 변하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들은 지능이 변한다고 믿는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그럴듯하게 설명할 수 있지만 가로축, 즉 온도에 따른 변화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우리
가 전형적인 눈결정으로 생각하는 가지가 많은 육각형 별 형태는 도표에서 보다시피 영하15℃ 부근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만들어진다. 습도가 낮아질수록 육각형의 장식이 단순해지다가 결국에는 작은 육각형 ... ...
아파야 엄마일까
2016.01.12
희생시키는 식으로 이뤄져 왔다고 해서 앞으로의 가족도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에게는 ‘옳은’ 방향을 찾아 나설 권리와 지혜가 있다고 믿는다.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얘기다. 즉 서유럽의 유방암 발생률은 동아시아나 중앙아프리카의 거의 5배이고(현재
우리
나라는 예외가 됐을 것이다), 특히 전립선암의 경우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우 동남아시아의 25배나 된다고 한다. 대장암의 75% 이상이 음식 때문으로 추정되고 흑색종의 65~89%는 자외선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정신병원에서 죽었다. 스트롱은 2000년 출간한 자서전 ‘Where on Earth Are We Going?(도대체
우리
는 어디로 가고 있나?)’에서 어린 시절 풀과 민들레를 먹으며 굶주린 배를 채웠다고 썼다. 열네 살에 고등학교를 중퇴한 스트롱은 돈을 벌어야겠다는 일념으로 여러 사업에 뛰어들었고 유전개발사업으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
2016.01.05
유명해졌다. 보통 사람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기괴한 신경질환을 지닌 환자들을 등장시켜
우리
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일상의 삶이 뇌와 몸의 정교한 조율의 결과임을 역설적으로 깨닫게 하는 이 책에서 색스는 신경질환을 ‘장애에 직면한 몸이 새로운 평형을 찾으려는 시도’로서 해석하고 있다. ... ...
일자리는 만드는 것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유망산업으로 꼽았다. 중국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다. "중국은
우리
의 커다란 경쟁자이면서 공략해야 할 시장"이라며 "중국에서의 성공이 세계에서의 성공으로 직결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관련 아이템으로 바이오, 뷰티, 헬스 등 소비재와 건강보조재를 공략할 만한 ... ...
두피ㆍ모발 고민 타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정확한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다. 탈모 치료는 주로 바르는 제제의 약물로 한다.
우리
몸은 나이에 따라 변화를 거듭한다. 하지만 그 의미가 건강이 나빠진다는 뜻은 아니다. 건강은 건강한 생활습관과 노력이 만드는 만큼 예방법만 잘 지켜도 머리카락 건강은 충분히 지킬 수 있다. ... ...
응답하라, 옛날이여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
의 삶은 늘 고단하다. 변하지 않는 것은 오직 과거뿐이다. 그래서
우리
는 변하지 않는 그 순간들을 추억하고 복고하려는 것이리라. 밤이 깊을수록 별은 더 선명해 보이듯 세상의 변화가 빠르면 빠를수록 '복고문화'와 '리마인드' 문화도 더 심화될 것이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것도 일반상대성이론 덕분이다. 아인슈타인이 완성한 일반상대성이론의 도움을 받아
우리
인류는 수학적 계산만으로도 지구 반대편과 오차 없이 교신할 수 있게 되었다. 태양계를 벗어나 은하계 바깥의 세상에서 벌어지는 현상도 매끈하게 설명하는 존재로 올라섰다. 바다에서든 산속에서든 손쉽게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