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0년 동안 한결같이 나무만을 연구해온 흔적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은 사진자료 역시
마찬가지
다. 책을 펼치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나무의 모습은, 저자 자신이 틈틈이 찍어온 수만장의 사진에 ‘궁궐의 우리나무’ 를 위해 다시 특별한 정성을 더한 것이다.어느 시인의 노래처럼 꽃이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갖가지 희귀 나무결은 부르는게 값이다. 목재색도 형형색색 나무 종류에 따라 다르기는
마찬가지
다. 붉은빛이 도는 참죽나무 목재는 악기의 외형 제작에 많이 쓰였다. 검은빛이 감도는 흑단은 은장도나 지휘봉의 재료로 주로 사용된다. 군사독재시절 별을 단 장군들 사이엔 권위를 상징하는 검은 ... ...
머리 많이 쓸수록 뇌는 '웰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폭풍우를 견디지 못해 부러져도 뿌리가 온전히 남아있으면 다시 새 가지가 돋아난다.
마찬가지
로 신경세포도 세포핵을 갖고 있는 몸체(세포체)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 몸체로부터 새로운 가지들이 뻗어 나와 다른 신경세포와의 연결을 빠른 시일 내에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뇌 기능에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흔들리는 정도가 달라진다. 무거워질수록 다이빙대의 진동 주파수가 줄어든다.
마찬가지
로 나노 다이빙대에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얹혀졌을 때 달라지는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저 광선을 나노 다이빙대에 쏘면 진동 주파수 변화에 따라 반사되는 레이저의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제대로 보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부분월식이나
마찬가지
며 관측 계획도 이에 맞춰 세워야 한다.편안히 집에서 관측하는 재미여러 천문현상 중에서 월식이 좋은 이유는 별도의 관측보조장비 없이도 그 전과정을 보기에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집에서도 ... ...
금속과 코일의 숨바꼭질 한판승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미국의 세계무역센터가 9.11 테러로 무너진지 벌써 2년이 훨씬 넘었다.모험이와 슬기는 미국에 살고 있는 친척을 만나러 가기 위해 공항에서 비행기 탑승 시간을 기다리는 중 ... 지워지거나, 오랫동안 사용하면 마찰로 인해 검은색 띠가 닳기도 한다. 지하철 승차권도
마찬가지
원리다 ... ...
인텔, 한국에 R&D센터 문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현지 기술 수준에 맞춰 연구소 규모와 연구 방향을 수립한다”면서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
”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본사와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핵심 연구 조직을 두지 않는 것이 본사의 입장”이라며 “연구진과 시설의 대규모 이동은 아마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스타워즈나 스타트랙, 이번 태극기 휘날리며도 탄탄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은
마찬가지
다.과학기술자가 받는 영화상 우리시간으로 지난 3월 1일 오전 미국 로스앤젤레스 코닥 극장에서 열린 제76회 미국 영화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예상대로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의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용어를 반드시 써야한다”고 말했다. 바나나맛 우유나 바닐라맛 아이스크림도
마찬가지
경우다.최근에는 천연 딸기가 첨가된 식품이 점차 늘고 있다. 오 이사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사람들은 강하고 단순한 향에서 싸구려 이미지를 느낀다”며 “따라서 천연 딸기를 첨가해 좀더 미묘한 향을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자극에 계속 반응하는 민감화와 같이 의식이 관여하지 않는 기억이다. 조건화 학습도
마찬가지
다. 예를 들어 개가 종소리만 들리면 침을 흘리게 했던 러시아 과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는 종소리라는 청각정보와 음식이라는 자극이 학습을 통해 연계된 결과다.또한 미국 컬럼비아대의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