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기숙사 식당 밥에서 요리로 진화 삼시세끼 라이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4끼를 먹을 수 있도록 식권(meal wipe)을 준다. 캠퍼스 이곳저곳에 위치한 기숙사 식당 8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데, 기숙사마다 테마가 있다. 예를 들어 멕시칸 음식을 먹으려면 스턴(Stern) 기숙사 식당에, 아시안 음식을 먹으려면 윌버(Wilbur) 식당에 가는 것이다. 플로모(Flomo) 식당은 일요일 저녁마다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과정에서 수능 모의고사 준비를 병행하기는 쉽지 않았다. 수능 모의고사와 내신 성적을 모두 잘 관리한 비결이 뭐냐는 질문에 김 씨는 “공부를 많이 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벼락치기를 하는 일이 없도록 점심시간에 20분 정도 일찍 들어와 공부하는 식으로 자투리 시간을 알뜰히 활용했다 ... ...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게임카페에 참여하세요! ● 참가자들이 말하는 ‘게임 개발’ "우선 명령어가 모두 영어니, 영어를 잘 해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수학은 직접적으로 쓰이진 않지만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게임을 만들 때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생각을 해야 하잖아요?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과목이 ... ...
- [SW 진로 체험] 수학, 금융을 꽃 피우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금융’은 금의 융통, 즉 ‘돈이 오고 간다’는 뜻이에요. 은행, 보험 회사, 증권 회사 모두 고객에게 돈을 받고 언젠가 다시 돌려준다는 점에서 금융 회사라고 할 수 있어요. 가진 돈보다 돈을 조금 더 모으고 싶다면 일정 기간 동안 은행에 돈을 주고 정해진 금리만큼 이익을 얻는 ‘저축’을 하죠? ... ...
- [화보] 작은 우주가 담긴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대촉각 끝에는 시력이 거의 없지만 명암을 판별하는 눈이 있다. 네 개의 더듬이 모두 넣었다 뺐다 할 수 있어서 손으로 톡 건드리면 쑥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소촉각은 후각을 느낀다. 물고기 | 반구 형태의 물고기 눈이 마치 투명한 유리구슬 같다. 흔히 광각이 180도를 넘는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다른 수컷이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새로 태어난 새끼 호랑이는 모두 순종 아무르 호랑이다. 시베리아 호랑이, 한국 호랑이, 백두산 호랑이 등으로도 불린다. 아무르 호랑이는 호랑이 아종(subspecies) 중에서 덩치가 가장 크다. 수컷의 경우 몸길이는 평균 190~230cm, 몸무게는 230kg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로보컵’에 출전해 키즈 사이즈(60cm)와 어덜트 사이즈(130cm) 두 종목에서 모두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찰리는 현재 미국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에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로 전시돼 있다. 스키 타는 ‘다이애나’, 축구공 차는 ‘앨리스’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 교수는 2012년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겪으면서도 묵묵히 개발에 매진한 팀원들 덕분에 필자도 지금까지 잘 해올 수 있었다. 모두의 노력이 더해져 우주강국 대한민국의 꿈이 순항하고 있다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최하는 행사나 영어, 글쓰기대회 등 문과 학생이 주로 참여하는 대회에도 가리지 않고 모두 참여해 좋은 성과를 냈다. 일반고였기 때문에 과학고나 영재고 학생들처럼 심화 내용 학습이 어렵고, 연구 활동이 쉽지 않아 내세울 수 있는 게 많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실험과 연구를 해보고 싶어 최대한 ...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60년 전 리만 가설이 발표된 뒤 수많은 수학자가 리만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도전했지만 모두 하나같이 실패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지금은 리만 가설에 도전하는 수학자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하서 연세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무려 22년째 리만 가설을 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리만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