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검증하는 아틀라스를 건설하며 원전기술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게 됐습니다.”백
센터
장은 “아틀라스 개발에 성공하면서 한국형 표준원전과 신형 경수로의 해외 수출 역시 힘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비까지 완전히 갖춘 원자력발전 기술의 ‘종합세트’가 완성됐기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생명공학연구
센터
강시용 박사는 “씨앗을 지난 봄 파종해 기른 결과 콩과 애기장대가 생육초기에 발육이 저하됐으며 난에서는 줄무늬가 나타나는 변이가 있었다”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돌연변이는 대를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사항을 참조하라는 의미32비트 크기의 이진수 IP 어드레스는 인터네트 가입시 NIC(정보망
센터
)가 할당해준다원격지 시스템을 로그인하기 위한 TCP/IP의 프로그램 TELNET를 이용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조작할 수 있다파동성을 가지고 있는 조그만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데 이용되는 양자역학(quantum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부딪칠 경우에는 그대로 있습니다.” 독일 바이엘머티리얼사이언스사 신비지니스창조
센터
엑카르트 폴틴 소장의 설명이다.따라서 속도를 줄이지 않다가는 시멘트 방지턱과 마찬가지로 차체에 큰 충격을 준다. 엑카르트 폴틴 소장은 “앞으로 플라스틱 내구성을 개선하는 등 재질을 보완하면 실제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도 가능해진다. 웹디자이너라는 직업도 도전해볼 만하다.미국 컬럼비아대 메디컬
센터
올리버 색스 교수의 ‘색맹의 섬’이란 책에는 이런 글이 실려 있다.“색맹이란 말은 우리에게 없는 것만 강조한 것입니다. 우리에게 있는 것, 우리가 보고 느끼는 세계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죠. 저에게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내는 진공청소기를 원할까. 고급화의 관건은 사운드디자인KAIST 소음 및 진동제어 연구
센터
의 이정권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소리의 공통점을 찾아 음질을 설계한다. 예를 들어 진공청소기가 내는 소리는 신경에 거슬리지 않으면서도 흡입력이 느껴져야 한다. 자동차의 엔진 소리는 ... ...
상상이 현실로~ 얍! 가상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가상현실은…‘같기도’다. 가짜도 아니고 진짜도 아녀!‘해리포터’다. 상상이 곧 현실! 윙가르디움 레비오우사!‘파리의 연인’이다. 가상현실 안에 현실 있다!‘벼룩시장’이다. 없는 거 빼고 다 있다~! ...
PART1. 세컨드라이프가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상상 vs 현실상상 1. 슈퍼맨처럼 하늘을 자유롭게 날 수 있다면?▶지구에 있는 모든 물체는 지구 중심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아. 이게 바로 중력이지. 그러니까 중력이 사라지지 않는 한 맨몸으로 하늘을 나는 건 불가능해.상상 2. 내가 남자가 아니라 여자라면?▶남녀의 성별은 엄마, 아빠의 염색체를 ... ...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2000배 확대해 찍었다.바이오 플라워 바이오문화상·일반부 전윤·국립암
센터
특정 유전자를 가진 배아줄기세포(빨간색)를 쥐의 수정란(초록색)에 피펫으로 삽입하는 장면을 포착했다. 광학현미경으로 400배 확대해 찍었다.외계인 바이오기술상·초중등부 류윤정·서울삼선초(지도_상지대 류동표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연구진은 오는 12월 수확을 기대하고 있다.흑진주가 해양연구
센터
의 첫 성과물로 떠오른 이유가 뭘까. 연구를 주도한 박흥식 박사는 “짧은 기간에 가장 확실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주제였다”고 설명했다. 신물질 추출을 통한 신약 연구는 장기간의 노력과 시간이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