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과 함께하는 행복한 시간, 2017 수학문화축전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수 있게 대형 구조물로 설치될 예정이에요. 주사위를 굴려 길을 찾는 롤링 큐브 미로도 직접 해볼 수 있어요. 평소 퍼즐이나 보드게임을 좋아한다면, 놀면서 수학을 공부하고 싶다면,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겠죠? 수학동아 독자를 위한 혜택!매스잼에 참여하려면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에서 ... ...
- [특별 인터뷰] 한국 호랑이를 지켜라! 백두산 생태통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찍히기 때문에 호랑이나 호랑이의 먹이동물들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할 수 있죠. 또 직접 산지를 돌아다니며 호랑이의 발자국이나 배설물을 찾기도 한답니다. 이를 통해 호랑이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고, 어떤 지역이 호랑이 생태통로로 쓰일 수 있을지 알아낼 수 있지요.Q호랑이 생태통로는 어떻게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거지요.●전기전도도 : 전기가 통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를 해결하기 위해 뇌에 직접 마이크로칩을 심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어요. 대뇌에 바늘 모양의 전극 칩을 삽입해서 뇌의 신호를 좀 더 정확하게 읽어내고, 이 신호를 기계에 연결해 움직임을 조종하는 거지요. 만약 이 칩을 USB처럼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등으로 만든 인공어초에 어린 해조류를 옮겨 심는 거예요. 어린 해조류를 바다에서 직접 심으면 물에 휩쓸려 떨어지기 때문에 육상에서 먼저 키워야 한답니다. 해조류가 어느 정도 자라면 인공어초를 그대로 바다 속에 투입해요. 이런 방식을 ‘종묘 이식’이라고 하지요.이외에도 해조류의 종류에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혈중 납 농도가 이처럼 높은 건 토식증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토식증에 대한 아무런 가이드라인이 없다. 향후 정책을 통해 흙 섭취를 반드시 줄이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 읽을거리Susan Allport, The Journal of Critical Food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작품과 실험용 시편 총 70여 점을 이틀 전 이미 가마에 넣어 뒀다.도예가 서광윤 씨가 직접 개발한 유약을 발라서 소성시킨 도자기. ▶광택이 너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고, 색이 부분부분 미세하게 다르게 나왔다. 전기나 가스 가마에서는 나올 수 없는, 전통장작가마에서만 나올 수 있는 독특한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있는 우주복을 이용한다. 우주복의 표면온도를 상승시킨 뒤, 우리가 우주복을 입은 채 직접 저 토착생명체에게 접촉하는 것이다.”“황제 폐하, 그 방법은 너무나 위험합니다. 저 토착 생명체가 무슨 독성과 사나운 습성을 갖고 있을지 모르는데, 어떻게 옥체를 가까이 하신단 말입니까? 베가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내가 찾아가는 식이었어. 이번에 네가 직접 찾아가게 만든 건 신뢰 때문이야. 네가 직접 엄마의 말을 듣고 그 장소에서 편지를 찾아야 확실히 믿을 테니까.”“그러면 너도 이 계획에 참여하는 거야?”“아니. 난 마고의 신뢰를 얻을 수 없어. 이건 너밖에 할 수 없는 일이야. 우리가 이렇게 이야기 ... ...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전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았어. 어린이가 무너진 건축물 사이에 갇혔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거대로봇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거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 벌써 다양한 거대로봇들이 세상에 나오기 시작했다고! 지금부터 소개해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뇌파로 조종한다? ...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래 왼쪽). 게처럼 생긴 외골격이 특징이지요. 로보틱스 한가운데에 사람이 직접 타서 안전벨트를 메고 뛰듯이 움직이면 게 모양의 거대로봇이 똑같이 움직이며 달린답니다. #앞으로 거대로봇은 더욱더 다양한 분야에 쓰이게 될 거야. 오락, 스포츠는 물론 우주도시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알맞은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