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뉴스
"
위성
"(으)로 총 3,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팩트체크] 러시아 개발 주장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일부 기종은 지상에서 약 50km 떨어진 성층권 높이를 뚫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
위성
항법장치(GPS)를 이용해 정밀하게 원하는 위치를 공격할 수 있지만 탄도미사일보다 속도가 느려 상대적으로 요격당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호준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사람을 태우지 ... ...
2300년 어류 수확량 20%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18.03.28
못하고 오른쪽 아래에 몰려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11년 발사된 미국의 극지관측
위성
인 ‘수오미(Suomi NPP)’가 2016년 2월 촬영했다. - NASA’S OCEAN COLOR WEB (NORMAN KURING) 제공 그 결과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록 남극 빙하가 사라지고, 바다 속 식물성 플랑크톤은 더 많은 햇빛을 받아 광합성 양이 ... ...
위성
이 포착한 실제 미세먼지 움직임
동아사이언스
l
2018.03.27
위성
이 포착한 지난 22일~25일 간의 미세먼지 움직임 최근 며칠 간 우리를 괴롭히는 미세먼지는 어디서 왔을까? 중국에 머물던 미세먼지가 한반도로 이동하는 모 ... 25일 오후에는 일시적으로 미세먼지 수치가 떨어졌다가 다시 높아지는 현상이 관측됐는데
위성
에도 그 순간이 잡혔다 ... ...
통제 잃은 中 톈궁
위성
, 韓 공장에 떨어지면?...보상 받을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22
등으로 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합의 하에 1년 간은 연장이 가능하다. 결국 인공
위성
이나 로켓 등, 우주물체로 피해를 입는다면 배상을 받을 때 까지 최대 2~3년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 팀장은 “만약 민간의 피해가 광범위하고 극심하다면 정부에서 ‘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 ...
국내 대기 중 '중국산' 초미세먼지 어떻게 알아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0
산업이나 농업의 성격이 비슷해 현장에서 유사한 물질을 배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성
영상 역시 대기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제공할 뿐, 대기 질 모델링은 아직까지 실제 관측치와 비교했을 때 오차가 커 정확도가 떨어진다. 2017년 중국 춘절 기간 동안 미세먼지 및 주요 화학물질의 대기중 ... ...
‘새벽 오로라’의 비밀 최초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03.14
“침전하는 전자의 유동은 맥동형 오로라를 만들어낼 만큼 충분히 강했다”며 “탐사
위성
의 데이터를 좀 더 분석해 플라스마로 발생하는 다양한 대기 현상의 원인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ature2550 ... ...
지식거래부터 우주탐사까지…무궁무진 블록체인 스타트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블록체인 기술이 완성됐다고 해도. 우주개발 프로젝트를 분산화시키는 데는 수많은
위성
이 필요할 전망이다. 쩡 대표는 “우리 기술을 믿고 있는 기업과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달 중 소스 오픈을 시작으로 우주개발 외에도 사업을 다각화해 수익 모델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 ...
국내 최초 국가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 1호, 2020년까지 2년 더 운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부터 3호까지가 이미 2~5년씩 연장된 바 있다. 한편 천리안 1호의 뒤를 이을 후속 정지궤도
위성
도 국내 주도로 한창 개발되고 있다. 기상관측용 천리안 2A호와 해양 및 환경 관측용 천리안 2B호가 동시에 개발되고 있으며, 각각 빠르면 올해 11월 및 내년 하반기에 발사될 예정이다. 천리안 1호와 2호 ... ...
기이한 소용돌이...탐사선 '주노'가 발견한 새로운 목성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탐사
위성
‘주노’의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남극 지역. 극지 중심의 소용돌이 한 개 주위로 지름 최대 7000km의 소용돌이 다섯 개가 모여 있다. 북극에도 조금 작은 소용돌이 총 9개가 비슷한 패턴으로 모여 있다. 이들이 서로 합쳐지지 않고 현재의 모양을 하고 있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 ...
스페이스X는 왜 로켓을 재활용할까?
과학동아
l
2018.03.07
본격화될 전망이다. 2026년 민간 발사 서비스를 개시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중·소형
위성
발사를 민간이 주도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2월 5일 국가우주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 국가우주위원회는 대통력 직속위원회로 5년 주기로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