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로 재감염 우려 커져...백신 업데이트 필요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있다. 영국의 B117과 마찬가지로 브라질의 변이바이러스도 전파되고 있다. 일본에서
발표
한 변이바이러스 감염 환자는 브라질에서 출발해 일본에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고 P.1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판명됐다. 변이바이러스가 팬데믹 상황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 ...
거리두기 이달말까지 연장…헬스장·카페·학원 제한 일부 풀려
2021.01.16
는 16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
했다. 이날 조정안
발표
는 이달 17일로 현재 수도권 2.5단계·비수도권 2단계 거리두기와 전국에 적용한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가 종료됨에 따라 추가 연장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뤄졌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본격화한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다이오드로 구성한 테라헤르츠 송수신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에
발표
했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P형과 N형 접합으로 된 일반 다이오드와 달리 금속과 실리콘을 접합해 구성한다. 전자나 정공 중 한 가지만을 이용해 전파를 수송하기 때문에 고주파 전송에 유리하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면역 체계, 돌연변이 방어할 수 있나?
2021.01.15
더 잘 붙는다면 감염을 위해 많은 수용체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영국에서 주로
발표
된 B117 돌연변이체 관련 통계, 역학 자료 분석 결과가 B117이 다른 버전의 코로나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높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니다. 물론 전파력 70% 증가 및 R0값 0.4 증가 수치는 B117 변이체의 고유 ... ...
“500명대는 상대적으로 적게 보이지만 여전히 많은 수치”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회의를 거쳐 17일 종료되는 현행 거리두기 단계 조정안과 설연휴 기간의 특별방역대책을
발표
한다. 윤 반장은 "지금의 노력을 꾸준히 지켜나갈 수 있도록 환자 감소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우리의 일상을 되찾는 시기를 앞당길 수가 있다"며 "지속되는 방역 정책 강화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에 ... ...
코로나19 신규 확진 513명 사망자 22명…전세계 사망자 200만명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광주광역시 시청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거리두기 2.5단계와 5인 이상 모임금지 등 세부 조정안을 15일 조정한 후 16일 오전에
발표
할 예정이다 ... ...
셀트리온 코로나 항체치료제 기대 속 일각선 '한계' 지적
연합뉴스
l
2021.01.15
문제가 없다"며 "
발표
시간제한 때문에 자세히 공개되지 않았지만, 논문을 통해
발표
될 예정이며 식약처에서도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단클론(단일클론) 항체치료제의 특성상 변이 바이러스에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짚었다.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는 코로나19 ... ...
코로나19 폐렴의 '진짜 위험', 느린 확산 뒤에 숨겨져 있다
연합뉴스
l
2021.01.15
수행한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 연구진은 최근 저널 '네이처'(Nature)에 관련 논문을
발표
했다. 14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폐렴의 확산 양상은 여기저기 생긴 작은 산불이 서서히 퍼져 거대한 숲 전체를 집어삼키는 것과 비슷했다. ... ...
전 세계인 5명 중 1명 앓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원인은 '장내 면역반응'
2021.01.15
세포에 가까이 붙어 자극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2006년 1월 국제학술지 ‘임상영양관’에
발표
한 것이다. 비만 세포는 평소 기생충이나 감염을 감지하고 히스타민 등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일종의 면역 알람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연구에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들에게는 감염이 발견되지 않았을 ... ...
코로나 바이러스 돌연변이, 문법 찾는 AI로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백신이 효과적인 부위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백신을 만들기 어렵다. 이 바이러스들은 빠르게 돌연변이를 일으키면서 백신의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