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동
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시료를 바꿔 달라, 위치를 조정해 달라며 여러가지 주문을 했고, 제주-대전간 사이버
공동
실험이 진행됐다. 실시간 화상으로 얼굴을 보며 문자 통신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실험하는 것이 아니라 화상 채팅을 하는 듯 즐거워 보였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이미 지난 5월 전주 분소와 ... ...
생각을 전달하는 뉴로 헤드셋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작동시킨 것이다.이 회사의 임종진 대표이사는 “지난 3년 간 러시아 모스크바대와
공동
으로 연구한 결과”라면서 “국내외 전문가로부터 이 기술에 대한 검증을 받은 만큼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세계 무대에 당당히 서겠다”고 말했다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했다.가장 최근의 검증은 2002년에 이뤄졌다. 이 실험은 이탈리아 물리학자가 NASA와
공동
으로 올 7월 토성에 도착할 카시니 우주선을 활용했다. 실험은 카시니호와 지구 사이의 가시선이 태양 바로 옆을 지날 때 수행됐다. 그 결과 샤피로 시간지연 현상은 상당한 정밀도로 증명됐다.▼관련기사를 계속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1948년 6월 26일, 미국 벨연구소에 뉴욕타임스와 타임지 등 유수 언론사 기자들이 모여들었다. 연구소장 랄프 보운은 “오늘 여러분들에게 소개하는 발 ... 각각 진행된 셈이다. 이 과정에 세사람 사이에 패인 골은 깊었지만, 1956년 이들은 노벨상
공동
수상자로 나란히 자리할 수밖에 없었다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없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종류만도 8천5백63종에 이른다.새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공동
묘지를 내집 드나들 듯 하던 때가 있었다. 잡음을 없애려면 고요한 새벽에 녹음하는 것이 최고인데, 밤새 묘지에 쭈그리고 앉아 있으면 계곡의 물소리가 귀신 울음소리처럼 들리기도 한다.새는 그냥 지저귀지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교수(미 프린스턴대), 호르스트 슈퇴르머 교수(미 컬럼비아대)와 1998년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분수양자홀 효과는 양자유체에 관한 새로운 이론이다.양자유체란 강한 자기장과 극저온(-2백73℃ 부근)에서 전자들이 액체처럼 운동하면서 저항값으로 분수값을 갖는 상태. 분수양자홀 효과는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디스플레이의 핵심이라고 하는 청색 고체 레이저 개발에 성공했다. 2000년 LG전자와
공동
개발에 착수한 이래 3년만에 얻은 성과였다.“고출력 청색 레이저는 빔주사 방식으로 기존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방식보다 훨씬 크고 선명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컴컴한 연구실 한가운데를 날카롭게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유속분포를 균일화하면 된다 마이크로파의 공명기로 이용되는 금속 벽으로 둘러싸인
공동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간단한 것은 기준진동으로 공명파장을 이론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항공기의 구조강도를 연구하는 항공학 분야 외력가진력(外力加振力)으로서의 공기력(空氣力)과 이로 말미암아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공동
개발중이다. 현재 진행중인 위성체 최종 테스트가 끝나는 대로 이스라엘과
공동
개발한 카메라 다중분광카메라(MSC, Multi-Spectral Camera)를 탑재해 오는 2005년 11월경 발사될 예정이다.따라서 머지않은 미래에 항공사진에 버금가는 50cm급 이상 해상도를 갖는 위성영상을 쉽게 볼 수 있을 것으로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네이처’ 4월 1일자에 게재된 ‘인간의 19번 염색체 염기서열 규명’이란 논문에
공동
저자로 참여했으며 자체 개발한 실험방법이 해독을 완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염색체 해독 작업(인간게놈프로젝트)은 생로병사의 비밀을 담고 있는 인간 유전자의 30억개 염기서열을 규명하는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