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만나 생긴 도형도 아니고, 내각의 합도 180°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19세기 독일의 기계공학자 프란츠 뢸로가 기계 장치에 삼각형 모양의 도형을 사용하면서 뢸로 삼각형이라고 이름 붙었다.한편 구면 삼각형은 구면 위에 정의된 삼각형으로, 서로 다른 대원 세 개가 만나는 점을 이었을때 생기는 ... ...
- 3차 흡연, 내 아이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흩어져 사라지지만 유해물질은 공간이나 흡연자의 몸에 남는다. 미국 UC버클리 도시환경공학과 연구팀의 2001년 연구에 따르면 담배연기에서 나오는 가장 해로운 물질인 니코틴은 철 표면보다는 카펫 같은 섬유와 페인트가 칠해진 벽에 2~3배 더 잘 달라붙는다.니코틴은 실내먼지에도 잘 붙는다. ...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은 펜도 있다. 종이가 접혀도 회로가 끊기지 않는다. 제니퍼 루이스 일리노이대 재료과학공학과 교수가 개발해 2011년 ‘응용재료’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개발 현장에서 다양한 표면에 쉽게 회로를 그리기 위해 개발했다. 종이 등 휘는 곳에도 사용할 수 있다.미래의 펜은 어떨까상상력 넘치는 펜의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없는 걸까.2“요 며칠 제가 본의 아니게 키 박사가 됐습니다.”김희발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는 기자를 만나자마자 최근 키에 대해 묻는 전화에 호되게 시달렸다고 털어놓았다. 지난 3월 7일 해외 학술지(플로스 제네틱스)에 발표한 연구결과 때문이다. 키와 당뇨를 비롯해 유전에 좌우될 수 있는 4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자유, 일시적 향락에 매몰되어 눈먼 자가 아니라면 누가 모르겠는가. 네가 말한 양자 두뇌공학의 발전이나 경제 산업 구조 개혁도 내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너희들 로봇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3.9수준 로봇이 만든 3.8수준 로봇이 스스로를 4.2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나 마찬가지였지.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지각능력, 자기계발 능력, 이해능력 등 인간의 사고능력을 프로그램화 한 것으로, 컴퓨터 공학 및 정보 기술의 한 분야다. 이런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학, 특히 수리논리학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이 필요하다. 수리논리학은 인공지능이 지식을 표현하고 추론하기 위한 사고의 규칙을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인공근육도 개발하고 있답니다절대미각 자랑하는 마술사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과 박태현 교수팀은 혀보다 1억 배나 민감한 전자 혀를 개발했어요. 혀에서 쓴맛을 느끼는 미각단백질을 이용하면 미세한 쓴맛도 느낄 수 있답니다. 전자 혀는 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하거나 오줌에 마약성분이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할 수 있다. 그런데 김윤영 교수님은 원래 자동차나 비행기의 설계를 연구하는 공학자다. 어떻게 변분미술이 탄생하게 된 걸까?"저는 원래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설계를 연구했어요. 기계에 들어가는 부품을 설계하는 분야로, 컴퓨터가 알아서 최소 재료로 가장 튼튼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 ...
- 술을 마시는 이유, 맛있다고 느끼기 때문!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격한 운동을 했거나, 고된 일을 마친 후 맥주 한잔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시원하고 고소한 맛을 떠올리면 입에 침이 고인다.실제로 술 한 잔 하고 싶다고 느끼는 이유는 알코올 성분 때문이 아니라 ‘맛 그 자체’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데이비드 카레켄 미국 인디애나대 신경병리학과 교수 ... ...
- 황금빛 햇살을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강연을 하고 그 내용을 책으로 묶은 것이다. 생물 정보학을 전공하는 김동섭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양자 정보학 전문가 이해웅 물리학과 명예교수도 참여해 네트워크와 정보에 대한 두툼한 책이 됐다.대중강연이라고 하면 깊이가 없을 것 같지만 아니다. 세 교수의 전공 분야 모두 과학동아에서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