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제"(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있는 1000억 개 신경세포(뉴런)의 연결 구조와 활동 원리를 파악해 뇌지도를 완성하는 국제 연구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2년 12월 시작된 아이와이어 게임에는 이미 세계 100여 개국 14만 명 이상이 참여해 쥐의 망막 신경을 3차원 지도로 그리고 있다. 게임 속에서 빈칸에 색을 칠하듯 신경세포를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막는 데 성공했다. ▲ 오늘날의 역학 지도오늘날에도 역학지도는 유용하게 쓰인다. 국제 역학 자료와 사람들의 이동 데이터를 토대로 만든 이 지도는 2009년에 일어났던 인플루엔자 대유행(팬데믹)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줬다. 최근에는 반응형(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전파 ... ...
- 사카린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밝혀졌다. 사카린이 인체에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과학적 사실이 명백해지면서 국제암연구소도 ‘인체 발암성을 의심할 수 없는 물질’을 뜻하는 ‘3군’으로 분류를 변경했다. 미국 FDA도 사카린에 대한 거의 모든 규제를 폐지했다. 한국 식약처가 이번에 사카린의 사용 범위를 크게 확대한 ... ...
- 어린이의 꿈이 현실이 되는 세계 원더랜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현실이 되는 세계, ‘원더랜드’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작가소개정연두 작가는 현재 국제 미술계가 가장 주목하는 멀티아티스트예요. 세계 유명 비엔날레와 전시회장을 무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죠. 지난 2007년 국립현대미술관이 선정한 ‘올해의 작가’로 뽑혔고, 2008년 ‘올해의 젊은 ... ...
- 우주에서 키우는 싱싱한 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채소를 키울 수 있을까요? 조만간 ISS(국제우주정거장)에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을 예정이에요. ISS에서 우주를 관찰하고 여러 실험을 하고 있는 우주인들은 채소를 먹기가 쉽지 않아요. 채소를 갖고 간다하더라도 금세 상해버리거든요. 그래서 NASA(미국항공우주국) 과학자들은 ISS에서 직접 채소를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알쏭달쏭 해조류가 뭘까?우와~!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해조류박람회 전시관들이 쭉 펼쳐져 있어. 멋지다~! 그런데 잠깐! 해조류가 정확히 뭘 말하는 걸까?해조류는 미역, 김 같은, 그러니까 음…. 어? 마침 저기에 국립수산과학원 황은경 박사님이 계셔. 박사님께 여쭤 보자. 박사님~!바다 숲을 이루는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 우리나라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를 기대해 봐요!-전도윤 독자기자1981년 우리나라가 국제수학연맹에 가입했을 때는 가장 낮은 등급의 1군이었다. 하지만 1993년 2군으로 한 단계 성장했고, 2007년에는 4군이 되었다. 그리고 2014년에는 세계수학자대회가 한국에서 열리는 영광을 거머쥐었다. 이런 ...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여러 우주인들이 여행한 코스로, 결코 만만치 않다. 지구 저궤도(고도 340km)에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해서 수 일간 지내다가 내려온다. 우주관광의 로망, 온전히 둥글고 창백하게 푸르른 지구를 볼 수 있다. 발사 후 ISS에 도달하는 시간은 수 시간에서 길면 수 일이다. 지구 상공에서 ISS까지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첫 필즈상 수상자다. 브라질 출신인 그는 1995년 15세의 어린 나이에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브라질의 연구기관인 ‘순수응용수학원(IMPA)’에 들어가 21세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번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브라질 ...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따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해서 5년제로 정했다고 합니다. 이후 미국의 교과과정이 국제 기준이 되면서 지금처럼 굳어지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건축학과도 대부분 5년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는 한 학기 동안 직접 건축물을 만들어 보는 ‘건축설계스튜디오’ 과목 때문입니다.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