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변해 알파선을 낸다. 결국 이 알파선은 주변의 정상세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뇌
종양만 없애준다. 마치 방사성동위원소가 미사일처럼 암세포를 찾아가 폭파하는 듯하다.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라 할지라도 정상세포에 쪼이면 좋을 리는 없다. 그래서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들은 주로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는 솔크연구소의 로저 길레민(1924-)과 폴란드 출신의 앤드루 빅터 샬리(1926-)는 이를
뇌
호르몬의 연구에 활용해 그 생성 메커니즘을 밝혔다. 얄로, 길레민, 샬리는 197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1983년 유전 연구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미국의 바바라 맥클린톡(1902-1992)은 여성 편견 때문에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과거 난치병으로 알려진 치명적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는 추세다.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은 암을 비롯한 각종 난치병 치료의 물꼬 ... 년 후에는 평생을 쌓아온 학식이나 덕망을 순식간에 파괴시키는 끔찍한 치매를 비롯한 다양한
뇌
질환을 퇴치할 수 있을 것이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공룡이 살아 움직이는 것을 본 사람은 없다. 그런데도 영화 '쥐라기공원'과 '잃어버린 세계'에서는 공룡들의 행동과 습성을 생생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어떻게 ... 않다. 하지만 공룡들은 1억6천만년 동안 자신들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필요한
뇌
의 능력을 갖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폭이 대폭 확대됐다.멍청한 얼굴로 변할수도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예전에 비해 오히려
뇌
를 쓸 일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이 골치아픈 연산이나 논리의 전개를 직접 수행할 필요가 사라지고 있다. 이미 짜여진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수의 컴퓨터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뇌
를 이루고 있는 유전자는 3천1백95개, 심장 유전자는 1천1백95개, 그리고 눈을 이루고 있는 것은 5백47개,··· 우리는 한걸음씩 인간의 비밀에 가까워지고 있다. 어떤 사람은 이를 아는 것이 두렵다고 말한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막연한 두려움을 벗고 진실을 보라 한다. 유전 때문에 고통받아온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형성된다고 알려져 왔다. 정확한 메커니즘은 모르지만 어머니의 목소리는 태아의
뇌
가 발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 일반적으로 소리는 태아의 청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렇다면 임신부가 틈날 때마다 태아에게 사랑스런 목소리로 말을 건네는 일이 태아의 발달에 도움을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어린이 프로그램이 있다. 여기에 몸통은 없고 머리만 있는 조단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뇌
만 있는 가상의 인물은 21세기 SF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진화된 인간 형태의 하나다. 과연 인간은 이런 방향으로 진화할까.가까운 과거를 살펴보면 인간이 미래에 어떻게 변해갈지에 대한 조금이나마 단서를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 있는 아무런 제도적 장치가 없다.그렇다면 21세기가 끝날 무렵 누구보다 우수한 두
뇌
와 뛰어난 신체를 지닌 ‘신인류’는 어쩌면 한국에서 최초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신한국인’의 출현이 우리에게 달갑게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다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반응을 유발한다. 물론 이 부분이 손상되면 적절한 정서적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뇌
의 변연계에서 분비되는 도파민과 페닐에틸아민, 엔도르핀과 같은 화학물질은 사랑의 감정을 유지시킨다. ‘사랑하는 사람은 모두 시인’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변연계가 활성화되면 감성이 풍부해져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