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육면체'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차례로 만들 수 있다.먼저, 같은 모양의 조각을 각기 다른 색으로 세 개 만들어 시계 방향으로 이어 붙이면, 정육각형이 완성된다.서로 다른 세 가지 색을 이용하니 흡사 정육면체처럼 보인다. 이제 정삼각형을 만들어 보자. 오늘 만든 평행사변형 조각과 정육각형, 정삼각형, 그리고 정사각형 ... ...
- 낯선 땅에서 만난 고려인 친구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거군. 이때 방향은 반드시 바꿔야 하고. 주어진 점은 반드시 지나쳐야 하는 거지? 여기서 방향도 바뀌고.”“맞네. 일단 이대로 길을 찾아오게나.”뭔가에 몰두하는 허풍을 오랜만에 보는 도형은 어찌 된 일인지 궁금하기도 하고 쪽지의 퍼즐도 궁금하다. 2 독립운동가, 허풍조그만 마당이 있는 집에 ...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발로 압력센서를 밀고, 압력을 느낀 전자회로는 로봇에 명령을 보내 사람과 똑같은 방향으로 로봇을 움직여 준다. 하지만 ‘사람이 먼저 움직여야’ 로봇이 움직이기 때문에 시간 차가 생긴다.다른 방법으로는 인간의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인 ‘근전도’나 힘을 줄 때 근육이 딱딱해지는 ...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자신이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일에 대한 큰 방향은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너는 창의적인 일을 할 때 즐거운 아이야. 네가 직접 주도적으로 무언가를 기획해서 만들어내는 능력을 키워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봐. 그 다양한 가능성은 바로 책 안에 있어. ...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맞춘 다음, 눈의 방향을 고정시킨 채 연필을 서서히 오른쪽으로 움직여보자. 연필이 시선 방향으로부터 약 20° 정도 움직인 지점에 이르면 연필의 끝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바로 망막에 있는 시각적 맹점(Blind Spot)에 상이 맺혔기 때문이다. 시각적 맹점이란 망막에서 신경 다발을 눈 속으로 ... ...
- Part 2. 해킹 Hacking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이름으로 개발자에게 보내거나 시스템 및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공개해 발전적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해킹에 악용될 수 있는 운영체계나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이 무분별하게 공개될 경우 파급효과가 크다는 것을 당시 해커들은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취약점을 발견하면 개발사와 ...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나오지 않는 휴대전화를 생산하도록 규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더 안전한 휴대전화를 개발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며 “지금 쓰는 내장 안테나 앞에 반사판을 달아 전자파가 머리 반대쪽으로만 나가도록 지향성을 주면 뇌가 ... ...
- 북두칠성처럼 여름밤을 밝히는 행운의 수 7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우왕시대에 마방진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 전해지는데, 이 마방진은 가로와 세로, 대각선 방향의 세 숫자를 더했을 때 합이 15로 항상 일치해. 이때 가로와 세로의 칸의 개수를 따서 3×3 마방진 또는 3차 마방진이라고도 하지.그런데 마방진에는 3차뿐만 아니라 칸의 개수가 더 늘어난 4차, 5차, 6차 등 더 ... ...
- 삼각형으로 가득한 세상, 미션을 수행하라!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삼각형이 될 수 있다. 특히 곰이 지구 위에서 직선으로 이동하다가 90°씩 두 번 방향을 바꿨기 때문에 곰의 이동경로는 세 각이 모두 90°인 삼각형이다! 그런데 모든 각이 90°인 삼각형이 되려면 삼각형의 꼭짓점은 반드시 극점과 적도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곰은 북극에서 출발했다는 얘기다.한편 ...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소량의 에너지원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현상을 연구한다. 그리고 유용한 방향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높은 에너지의 레이저를 대상 물체의 표면에 쏘면, 표면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짧은 순간 빛을 낸다. 표면에서 발산한 빛을 분광기를 이용해 분석하면 대상 물체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