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아직 많이 남아있는 동북아시아에서 철도는 각국을 빠르고 안전하게 연결하는 최적의
선택
이자 통합의 상징이 될 것이다. 한국철도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싶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과학 타고 지구 한 바퀴 현대 문명을 낳은 철도 1. 세계로 가는 철도 다시 열린 철의 실크로드 2. 모양은 ... ...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흥미를 뒤로 하고 수학, 과학 성적 때문에 자연계 진학을 포기하고 있는 것. 진로를
선택
하기 전에 이공계 분야의 전공에 대해 어떤 내용을 다루는지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겠지만, 현재 교육 여건에서 쉬운 일이 아니다.이런 현실 속에서 서울대 공대와 동아사이언스가 글로벌 리더를 꿈꾸는 예비 ... ...
투시력 있어야 마술사 하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3, ◆A, ♥4로 번호 5를 알아내는 것이다.여기서 첫 번째 카드와 뒤집어 놓은 카드를
선택
하는 방법이 2가지라는 점에 주목하자. 즉 ♣A를 공개하고 ♣5를 숨기거나, ♣5를 공개하고 ♣A를 숨길 수 있다.일단 번호 13개를 둥글게 배치했다고 생각하자. 그리고 마술사와 조수는 미리 번호 사이의 간격이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근거한 자기 관리에 있음을 우리는 확실히 깨달아야 한다. 전면 개방시대에 우리의
선택
은 가장 귀중한 자산인 우수한 인재를 제대로 키워내고 첨단 과학기술을 적극 수용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1. 신토불이는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과정이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모든 유전정보를 지닌 염색체 역시 좌우대칭의 구조를
선택
했다.그렇다면 사람의 몸은 어떨까? 일찍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인체의 비율을 연구했다. 그의 스케치 속 인체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지만, 겉보기와는 달리 몸 속 장기들은 대칭을 거부한다. 심장은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방법 중 가장 진보된 방법이지만 모든 경우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신중하게
선택
해야 한다지구-내행성-태양 순으로 일직선이 된 경우를 말하며 행성이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지구-태양-내행성 순으로 일직선이 된 경우이며 역시 관측할 수 없다지구-태양-외행성 순으로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Multi-National brassica Genome Project) 회의에서는 한국산 배추인 ‘지부’ 계통이 표준모델로
선택
됐다. 미국이 양배추 게놈연구 컨소시엄을 제안했지만 한국 연구팀의 배추 게놈 연구가 앞서 진행됐고 유럽과 캐나다가 이를 인정한 결과다.배추의 게놈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충남대 식물자원학부 임용표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기대하기도 힘들다. 어쩔 수 없이 표본
선택
편의가 나타난다. 그래서 이런 경우 표본
선택
편의를 미리 감안해 보정하는 수학모델을 만들어 예측에 활용한다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할 수 있다사용자가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화면을 통해 중앙의 서버로부터 비디오를
선택
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동영상 자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해준다전송되는 데이터를 마치 지속적인 물흐름처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가진다.따라서 기술자들은 화면비율을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충해
선택
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정해진 것이 당시 영화에서 사용하던 4 : 3(1.33 : 1) 화면비율이다. 사진도 이 비율을 사용하고 있으며, 렌즈장치의 한계 때문에 초기의 영화 화면도 역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 TV와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