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길고 복잡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로 들어가자 김나리 경희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이 기자를 맞았다. 먼저 21개 문항으로 이뤄진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검사’를 진행했다. BDI는 아론 벡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명예교수가 1961년 처음 제안한 우울증 검사로, 두 차례 개정되면서 지금의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운반될 예정이랍니다. 연구를 이끌고 있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제롬 샤펠라즈 연구원은 “우리의 목표는 전세계 모든 빙하에서 수백 개 이상의 빙하 코어를 추출해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더 많은 나라들이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8년은 무술년 ‘황금 개띠’의 해예요. 무술년의 ‘무(戊)’가 황금색을, ‘술(戌)’이 개띠를 나타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겨울 들판에도 황금 강아지를 닮은 식물이 있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금강아지풀이에요. 농촌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강아지풀과 비슷 하지만, 꽃차례에 송송 나 ... ...
- [과학뉴스] 독감 바이러스, 변신 지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바이러스는 점차 강력해지고 있다. 이반 코식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 연구소(NIAID)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하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쥐와 기니피그, 닭을 감염시킨 뒤 체내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킨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들의 구조를 각각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커튼을 친 것처럼 검은 연기가 터널 안으로 되돌아 들어가고 있었다.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진행된 터널 내 자동차 화재 실험. 앞좌석 시트에 가연성 물질을 붓고 점화했다.2. 에어커튼을 가동하면서 연기의 유동, 터널 내외부 온도, 일산화탄소 농도 등을 측정했다. 농연 순환시켜 연기 확산 ... ...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장애물 없이 여러 층으로 퍼져나갈 수 있어 화재에 취약하다. 대림산업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이에 대비해 연기를 천장에서 빨아들일 수 있는 제연 시스템을 고안했다. 연구팀은 또한 층마다 설치된 환기 시스템을 ‘감압’과 ‘가압’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화재가 난 층에는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무풍불기랑(無風不起浪). 바람이 불지 않으면 물결이 일지 않는다는 말로, 어떤 일이든 항상 원인이 있다는 뜻이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라 ...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 2013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유동계면을 연구하는 박사과정 연구원이었던 아니루드 샤르마(Anirudh Sharma) 씨는 인도 뭄바이로 여행을 갔다가 충격적인 경험을 했다. 숨조차 제대로 쉴 수 없을 만큼 혼탁한 공기 때문이었다. 뭄바이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대기오염이 심각한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올 수도 있습니다. 염민규_mky24@cam.ac.uk영국 케임브리지대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생쥐 유전모델과 오가노이드, 그리고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해 암 발생 과정에서 암 세포와 주변 정상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다 ... ...
- [2017 메리 크리스MATH 파티] 지적인 크리스마스 파티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공부하는 장승욱 연구원의 ‘매듭의 수학’이었습니다. 장 연구원은 직접 줄넘기를 준비해 마치 마술사처럼 매듭을 만들고 푸는 모습을 보여주며 청중의 관심을 사로잡았습니다. 강연 말미에는 두 사람이 함께 풀어내는 매듭 문제를 제시하며 참여를 이끌었습니다. 복잡하게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