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6,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고분자를 나노 크기로 만들 거라고? 그건 이제껏 아무도 해낸 사람이 없어. 그래도 하겠다면 잘해봐. 굿럭(Good luck).”진심으로 행운을 빈다는 의미의 ‘굿럭’이 아님을 장정식 교수도 알고 있었다. 장 교수는 1991년 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에 부임한 뒤부터 줄곧 신소재 고분자 연구를 해왔다. 물 ... ...
- 자연계 상위권은 영어·수학 B형과학동아 l2010년 10호
- 2014학년도 수능을 치르는 현 중3부터는 매년 2회의 수능시험을 치른다. 응시과목 수도 지금의 절반으로 줄어든다.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은 난이도에 따라 A, B형의 수준별 시험을 치른다.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8월 19일 대입선진화연구회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시험 개편안 ...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프랑스에 퀴리 부인으로 유명한 *마리 퀴리가 있다면, 이스라엘에는 아다 요나트가 있어요. 아다 요나트 박사님은 1911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마리 퀴리처럼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학창 시절 마리 퀴리의 전기를 읽으며 화학자의 꿈을 키웠던 그는 ‘이스라엘의 마리 퀴리’라 할 만한 ...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찰칵~!’거리를 걷다 멋진 건물이나 다리를 보면 친구들은 어떻게 하나요? 휴대전화나 디지털카메라로 그 풍경을 찍을 거예요. 하지만 사진기가 없거나 드물던 시절에는 어땠을까요?대부분 화가들이 풍경화를 그렸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아요. 불과 약 150년 전까지 ...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안녕하십니까! 전국 공룡 체전 500m 달리기 시합 중계를 맡은 트리케라톱스입니다. 이 곳 전남 화순시 서유리는 지금 어느 때보다 응원 열기가 뜨겁습니다. 바로 시합의 우승자에게는 공룡 마을의 절세미녀와 데이트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지요.말씀드리는 순간! 용각류 대표, 3번 네메 ... ...
- 2014년을 향해 우리나라 수학자가 달린다수학동아 l2010년 09호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는 캐나다, 브라질과 유치 경쟁을 벌였어. 캐나다는 이미 2번이나 대회를 유치한 베테랑이고, 브라질은 대통령이 직접 나서는 열정을 보였지. 하지만 이 두 나라를 제치고 우리나라가 2014년 개최지가 됐어. 우리나라는 최근 수학 논문이 2배나 늘었고, 국제수학자연맹의 등 ... ...
- 달콤쌉쌀한 첫사랑에 빠진 도형수학동아 l2010년 09호
-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로 향하던 중 열차 고장으로 브라쇼브를 여행하게 된 허풍과 도형. 드라큘라 성에서 진짜 드라큘라일지도 모를 백작을 만난다. 이를 안 허풍과 도형은 두려움에 재빨리 루마니아를 떠나 터키로 향하는데….1. 이스탄불 최고 요리를 맛봐라동서양의 문화가 만나는 터키 ...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이 책에는 ‘가장 효율적으로’ 자급자족하는 방법,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 물건을 만드는 방법, 치료하는 방법 등이 담겨 있다. 자연이 살아가는 모습과 지혜를 사람의 삶에 적용하는 ‘생체모방’이다. 1997년 저자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이 책을 쓰고 생체모방이라는 용어를 창안했다. 그 뒤 ... ...
- 스마트 의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삑’ 소리와 함께 문이 열리는 자동차는 더 이상 신기하지 않다. 음성인식으로 시동을 걸거나 장소를 안내하는 기능도 특별하지 않다. 자동차가 점점 주인을 빠르고 안전하고 편하게 스스로 알아서 데려다 주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도 마찬가지다. 외부에서 전기나 가스레인지를 ...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방안 1 ‘멀티 뇌’를 가진 컴퓨터를 만들어라 - 멀티코어 인텔, 에이엠디(AMD)와 같은 세계적인 프로세서 생산 업체들이 선택한 대안은 클럭을 높이는 대신 ‘뇌’를 늘리는 것이다. 입출력 및 연산을 처리하는 ‘뇌’, 즉 코어의 수를 늘렸다. 이렇게 하나의 칩 안에 두 개 이상의 코어를 집적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