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어
국어
조선말
조선어
나랏말
국어과
국어과목
d라이브러리
"
한국말
"(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안녕∼, 친구들. 나는 1970년대 한국 발명계를 주름잡았던 요철이야. 옆에 있는 착하게 생긴 친구는 내 조수 맹물이지.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부모님들은 우리가 무척이나 친근할 거야. 바로 우리와 동갑내기거든. 그런데 갑자기 2005년에는 웬일이냐고? 그게 말이야. 내가 맹물이와 만들고 있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꽃들과 나무들이 황금색으로 찬란하게 빛나는 오후, 앨리스는 지루하게 하품을 하고 있어요. 뭔가 재미있는 일이 없을까? 풀잎이 바스락거리는 소리에 놀란 앨리스가 고개를 돌리니 하얀 토끼 한 마리가 허둥지둥 달려가고 있는 게 아니겠어요? 토끼는“바쁘다, 바빠”라고 중얼거리며 주머니 속의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일어난 지진 때문에 200만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곧 매서운 겨울을 맞을 이들을 위해 빠르고 싸게 만들 수 있는 텐트가 최근 개발됐다. 이 텐트는 추위와 강풍 실험을 통과했다. 재료시험에서 시료조각의 단면적 변화를 무시하고, 최초의 단면적으로 외력을 나눈 값둘 또는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이고, 팔다리가 쑤신다. 비가 오려나?” 할머니가 이렇게 말씀하시면 하늘은 마치 할머니와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어김없이 비를 뿌린다. 할머니에게는 ‘팔다리가 편안한 정도’가 날씨를 가늠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인 셈이다. 기상학자들은 할머니보다 훨씬 많은 변수를 모아 날씨를 예측한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요즘 은행에 가 보면 ‘주가지수연동(ELS)정기예금’이라는 것을 판다. 정기예금 이자로 1년에 기껏해야 5%를 주는데 이 상품은 주식값이 많이 오르면 7%를 주고 별로 안 오르면 4.5%만 주는 상품이다. 주가가 오르면 높은 이자를 받고 주가가 안올라도 어느 정도 이자가 보장되니까 손님들 입장에서는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한반도에서 일기예보는 언제 시작됐을까? 기상관측의 시점은 널리 알려진데 반해 기상예보의 시작을 기록한 자료는 지금까지 없었다. ‘1905년 11월 2일자’ 일기도 한 장만이 가장 오래된 일기도로 기록됐지만 그 내용이 상세히 알려지지는 않았다.얼마 전 그보다 하루 전인 11월 1일을 기록한 일기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마존의 사막화가 계속되면서 서식지를 잃은 흡혈박쥐 떼가 북부 브라질을 휩쓸며 사람에게 광견병 바이러스를 옮기고 있다. 흡혈박쥐에 물린 사람은 1000명이 넘고, 이 중 20명이상이 사망했다. 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몇 년 전부터 고개를 들기 시작한 이공계 위기설은 이제 ‘친숙’하게 들리기까지 한다. 수험생은 ‘학문적 호기심’ 보다는 ‘돈 되는 전공’에 우선순위를 둔다. 교수들조차 약대 가고 남은 학생들이 공대에 온다는 말을 거리낌 없이 한다. 대학 진학 뒤에도 부전공을 살리거나 전공과 동떨어진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때까지만 해도 남극에 다시 돌아갈 거라곤 믿지 않았죠.”김예동(51) 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몇 안 되는 극지전문가다. 호주를 출발해 7시간의 비행 끝에 도착한 낯선 하얀 대륙이 ‘평생지기’가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꼭 다시 돌아올 테니 한번 두고 보라”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2029년에도 사람들은 SF를 썼다. 덕분에 그 해에도 한국 SF 공모전이 열렸고 7000편이 넘는 응모작들이 접수되었다. 나는 예년처럼 응모작들을 접수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소설부문 응모작 접수란에 이런 글이 남겨져 있었다.『첨부된 파일은 지난 15년간이나 애정을 가지고 읽고 또 써 온 SF 인생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