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관찰"(으)로 총 3,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난 여름방학 때 서울대학교 김준 연구원님의 한국 선충 강연 및 연구실 견학탐사기록 l20191027
- 확인해야하는 유전공학 실험을 하기에 아주 좋은 생물이라고 설명해주었다. 강연이 끝났을 때에는 현미경을 통해, 직접 선충을 관찰해볼 수도 있었다.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선충의 신비로운 이야기들도 들으며, 나도 '예쁜꼬마선충'을 키워보고 싶어졌다. 강연과 연구실 견학이 너무 재미있었어서, 꼭 섬으로 떠나는 선충 채집 탐사에 참여하고 싶었는 ...
- 4차산업혁명을 경험하며, 2019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을 다녀오다.기사 l20191027
- 부스에도 참가했다. 오래된 장치들을 이용해서 옛날 방식으로 번개와 같은 전기장을 만들어내는 것도 보고, 양파세포도 직접 관찰해보았다. 또 BMW코리아 미래재단 주니어 캠퍼스 차량을 방문해, 실제 자동차 내부의 엔진도 보고 여러 원리들을 배울 수 있었다. 그 앞에서는 드론 조정 연습장, 3D 프린터 체험장 등도 운영되고 있었다. 그날은 시 ...
- 병아리 부화 실험포스팅 l20191022
- 테이프로 감아 간이 검란기를 만듭니다 . 4.부화기에 넣은지 6일째에 검란을 합니다.달걀에 검란기를 비추면 가느다란 혈관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부화기에 넣은지 약 21일이 지나면 달걀에서 병아리가 나옵니다. 이렇게 병아리 부화 실험을 마치겠습니다. . 부모님 어렸을 적에는 학교앞에서 병아리를 팔기도 했다는 데, 지금은 볼 수가 ...
- 2019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기사 l20191020
- 일정으로 대전 엑스포 시민공원 주제전시관) 1.양파 표피세포 관찰하기 양파를 썰어 표피를 채집하여 색소를 떨어뜨려 표피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을 응용하여 안정성 평가 연구소 에서는 세제, 약 그리고 화장품 등을 테스트 한 시료들을 현미경을 통해 염증 및 정상세포 와 손상세포 등을 발견하여 우리 인간이 사용 ...
- 누에를 키우는 중이에요기사 l20191018
- 애벌레가 고개(?)를 들고 허공에서 무언가를 찾는듯 흔들고 있었습니다. 혹시나 싶어 사육장을 다시 갈아주고자 문을 열었는데 자세히 관찰하니 사육장 유리벽에 희미한 실의 흔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몇 시간후 처음으로 사육장 벽에 붙어있는 애벌레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애벌레의 입에서 거미줄 같은 실이 나오고 있는 것이 보였습니다. ...
- 도전! 캐나다 탐험대 4기사 l20191014
- 가두어둔 면적이 어마어마하게 컸다. 우리가 도착했을 땐 동물들 점심시간이었는지 다들 먹이 통 가까이 와 있었다. 눈앞에서 동물을 관찰하기에 좋았다. 먼저 겨울왕국에 나오는 순록을 보았다. 순록은 갈색 피부에 하얀 뿔 2개를 머리에 달려 있었고, 뿔 하나당 무게가 약 5kg 정도 된다고 했다. 하나도 무거워 보이는 뿔을 어떻게 2개나 가지고 있 ...
- 도전! 캐나다 탐사대 출발~~ 1.기사 l20191013
- 와칭 투어를 한다. 그래서 매년 수만은 관광객들은 이 고래를 보러 찾아 오고 범고래, 혹등고래, 회색고래 등을 크루즈나 보트를 타고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게 설명을 듣고 고래를 볼 생각에 들떠서 잠시 기다렸다. 보트가 세차게 출발하니 바람이 살을 베듯이 불어왔다. 나는 내몸을 지키기 위해 빠르게 보트 안으로 들어갔다. 다행이 옷을 두껍 ...
- 국립 수목원 귀화식물기사 l20191007
- 국립 수목원에 가서 식물에 대해 배우고 관찰하였습니다. 식물은 외래 식물과 특산 식물로 나눌 수 있고 외래 식물은 귀화 식물로 또 나눌 수 있습니다. 외래 식물은 외국에서 온 식물을 말하고 특산 식물은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말합니다. 외 ... 듣고 활동 후에 발표 시간도 있었습니다. 동생들과 뜻깊고 유익한 시간을 ...
- 토끼탐사대 - 191006 - 1탐사기록 l20191006
- 화분매개자인 박각시와 꿀벌을 관찰했습니다. ...
- 빛에 속도에 가까워 질수록 시간이 느려진다!?기사 l20190922
- 더 길어집니다. 그래서 소년의 손전등에서 나온 빛이 바닥에 닿을 때 그 순간 아이슈타인은 소년보다 몇 초 더 산 게 됩니다. 이 처럼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달라 집니다. 결국 아이슈타인은 빛의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이 느려진다는 결론이 나왔답니다. 미래에는 이런 이론에 따라 더 오래 살 수도 있겠네요.^^ 다음에는 더 재미있고 흥미로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