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뼛골
뼛속
척수
치수
골
수
주요부
d라이브러리
"
골수
"(으)로 총 2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
과학동아
l
198807
대해서도 항체가 생긴다. 이는 위암의 치료를 어렵게하는 요인이 아닐 수 없다.이때
골수
종세포와 항체생산세포 (형질세포)를 세포융합시키면 위암관련항원에만 달라붙는 단세포군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세포를 찾아낼 수 있다. 이 항체는 위암관련항원에만 특이하게 결합할 뿐 위암이 지닌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05
시도했다. 얼마 전 마지막으로 남았던 해변참새(dusky seaside sparrow)가 죽었을때 그 정자와
골수
를 냉동보관해 두었던 것. 이 계획에는 먼 훗날 이 단세포로부터 새를 원래대로 다시 복제하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담고 있다. 세포의 냉동보존은 인간의 질병치료에까지 활용된다. 최근 알버타대학의 ... ...
환경 방사선의 정체 인공방사선의 위협이 가장 커
과학동아
l
198711
20만밀리렘에 피폭되면 머리털이 빠지는 증세가 각각 나타나게되며 1백~5백렘일때는
골수
손상, 2천렘이상이면 중추신경파괴와 함께 심할 경우 사망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우주방사선은 또 지구로 내려오면서 대기중의 미세한 물질들과 반응, 2차방사선 핵종을 만드는데 그종류는 트리튬 탄소 1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10
긋는 전자빔을 질병치료에 이용하는 연구도 진행중이다. 예컨대 적혈구 세포가
골수
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혈관으로 흘러들어가는 속도를 측정하면 질병치료에 획기적인 기여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인공관절을 이식할 때 뼈가 그 주위에 재생해 강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데도 초정밀 기술이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08
있지만 가시는 표피 바깥으로 튀어나와 있다. 이 가시는 3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안쪽이
골수
, 중간층이 상아질이고, 바깥 즉 표면은 에나멜층으로 되어 있다. 새우만한 상어에서 18m 고래상어까지 상어는 인간을 습격하는 흉폭한 물고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은 인간에 해가 없는 상어가 ... ...
정상 우주론의 창시자 프레드 호일 FRED FOYLE
과학동아
l
198708
훤칠한 키에 귀족티가 나고 말수가 적으며 옥스포드대학교수가문에서 태어난 라일은
골수
의 케임브리지풍 학자였다. 재기가 넘치는 라일은 자기 이론이 논박을 받으면 고함까지 지르는 버릇이 있어 감정이 매우 예민한 과학자였다. 한편 헝클어진 머리에 야성적인 맛을 풍기면서 근로계급의 ... ...
세포이식수술에 새로운 가능성 보여
과학동아
l
198702
파킨슨씨병 환자들에게 새희망을 주었다. 한편 미국은 태아의 간세포가 조혈장기인
골수
가 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탈라세미아(thalassemia, 혈색소를 이루는 폴리펩티드 체인의 합성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유전적인 용혈성 빈혈)치료를 도모하고 있다. 더욱 많은 시도가 예상되는 태아세포이식수술은 ... ...
PART3 분자생물학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새로운 생명관이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612
때문에 고생하는 환자와 자손에 대해 유전자 치료를 겨냥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
골수
나 피부같은 체세포(생식세포가 아닌 세포)에 정상유전자를 도입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나아가 유전병치료에 DNA를 이용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인간의 생식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는 시도도 10년 ... ...
난치병, 앞으로 쉽게 치료될지도
과학동아
l
198611
그러나 이 방법은
골수
를 떼어내거나 이식하거나 하는 어려운 수술이 필요한 데다가
골수
에 다시 넣은 세포가 반드시 기대한 대로 활동한다는 보장이 없는점 등 문제가 많다.그래서 ‘벨머’교수팀은 환자의 피부세포를 떼어내 거기에 유전자를 넣어 그것을 다시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에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06
이 우유를 마시면 스트론튬은 칼슘처럼 흡수돼 뼈에 모여 암과 백혈병을 일으킨다. 또
골수
에 쌓인 것은 피를 만드는 메카니즘을 파괴한다. 나아가 모유 속에도 축적돼 아기들에게 방사성 동위원소가 이전되기도 한다. 요오드131과 129도 비슷한 경로로 인체에 침투하는데 뼈가 아니라 갑상선에 ... ...
이전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