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체현
실현
형상화
구상
인격화
전형
d라이브러리
"
구현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02
휴대전화로도 즐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부피가 큰 특수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
할 수 있던 입체영상을 작은 휴대전화 속에 넣은 비결이 뭘까?연구팀은 먼저 기존의 입체영상 촬영 기법을 자세히 분석했다. 이 기술은 ‘깊이’ 정보를 알아 내기 위해, 보이는 면에 빛을 쏘고 빛이 물체에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02
들어와 있다. 정확히 말해 게임을 만들 때 꼭 필요한 게임 디자인 요소가 일상 생활에서
구현
되고 있다. 좀 더 박진감 있게 보여주기 위해 신입 은행원의 하루 일상으로 이를 소개한다. 출근·업무·여가로 구성한 신입 은행원의 에피소드에 나오는 모든 소재는 현실에서 찾을 수 있다. 닛산 친환경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02
살 수 있는 셈이다.이 점이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게임기는 그래픽이 뛰어난 게임을
구현
하기 위해 상당한 연산 능력을 갖춘 프로세서를 쓴다. 이를 다른 데 활용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온 것이다. 플레이스테이션3가 좋은 사례다. 플레이스테이션의 연산장치인 ‘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여러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기술은 정확성이 높아져 상당한 수준까지 올라와 있지. 아직은 음성인식 기술이
구현
된 스마트패드가 없지만 머지않아 등장할 거야. 음성인식도 인터넷 안 되면 무용지물?아빠나 엄마가 스마트패드를 놓게 하는 방법이 뭐냐고? 간단해! 하지만 쉽지는 않을 거야. 무선인터넷이나 데이터통신을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01
게 없습니다. 1967년에 나온 논문인데 아직 아무도 이 속에 숨겨진 원리를 로봇으로
구현
하지는 못했죠.”벼룩 뒷다리에는 세 종류의 근육이 있다. 펴는 근육과 접는 근육, 방아쇠 근육이다. 평소에는 벼룩의 다리가 접힌 상태다. 펴는 근육이 다리를 접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 에너지는 접는 근육에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12
가지가 있고, 그런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니 너도 나도 ‘완벽한 인공지능
구현
’, ‘차세대 지능형 프로그래밍 기법’ 같은 거창한 수식어를 달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계의 작동순서는 결국 사람이 정하고 만들어 준다는 ‘불편한 진실’은 결코 변하지 않습니다.로봇에게도 감정이 ... ...
수학 프로그램으로 실제 범죄를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111
현장을 예측해 출동한다는 게 가능할까? 영화 속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이 실제로도
구현
될 예정이다.10월 12일 영국의 과학주간지‘뉴사이언티스트’보도에 따르면, 수학자인 미국의 산타클라라대 조지 모셜 교수는 범죄가 일어날 장소와 그 범죄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그는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11
이 기능은 지금도 마이크로소프트가 발매한 동작인식게임기 ‘키넥트’처럼 어느 정도
구현
돼 있다. 로봇 권투 시합에 응용할 수 있으려면 지금보다 더 정교하고 속도가 빨라져야겠지만 10년 뒤의 미래라는 점을 감안하면 불가능하다고 할수는 없다.정작 2020년에 이루기 가장 힘들어 보이는 건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
과학동아
l
201110
대단히 특이한데,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우화에 나오는 큐피드의 화살을 그대로
구현
한다. 서로 교접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날개달린 침을 찌른다’고 썼다.” 여기서 침은 비유가 아니라 정말 달팽이 일부 종이 쏘는 탄산칼슘 구조물이다. 하지만 그 모습을 보고 신화를 떠올리는 것은 분명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10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의 서승우 교수는 철새의 군집이동 법칙을 자동차에서
구현
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앞차나 옆차와의 거리를 감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는 지능형자동차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서승우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눈 달린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