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07
- 용어부터 정리하고 넘어가자. 시중에 ‘줄기세포 치료’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은 크게 세 가지다. 성체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 줄기세포, 성형·미용 줄기세포다. 이 세 가지가 모두 ‘줄기세포’라는 이름으로 뒤섞여있다 보니, 누구는 줄기세포 치료제가 곧 등장한다고 하고, 누구는 아직 멀었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07
- 현재 스마트폰이나 노트북PC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배터리는 ‘리튬이온전지’다. 리튬이온전지는 지금까지 개발된 어떤 휴대용 전지보다 성능이 월등하다. 같은 용량의 니켈카드뮴전지보다 훨씬 작고 가볍다. 전기 용량도 다른 이차전지의 2배에 달한다. 실제로 리튬이온전지가 나오면서 노트북이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06
- “안녕하십니까? 사회를 맡은 유재숙입니다. 6월 4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섯 명의 무한도시 시장 후보자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시장, 도지사, 교육감 등 총 7분야에서 3,952명을 선출하게 됩니다. 그런데 규모가 큰 만큼 선거 과정 또한 복잡해 혼란스러워하는 유권자 ...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과학동아 l201406
- 연구주제는 가까운 곳에 있다“2009년 이안류 때문에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100명이 넘게 바닷물에 쓸려나가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안류는 물살이 매우 빠르기로 유명한데요, 그 힘을 파력발전에 이용해보고 싶었습니다.”경기고 2학년 이찬 군은 ‘이안류를 이용한 파력발전 시스템’을 고안해 특별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06
- 기사에 앞서, 브라질 월드컵에 참가하는 각국 선 수들에게 깊은 위로를 표한다. 곧 ‘살인적인’ 경기 일정을 만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행기 울렁증이 없길 바란다. 그 어떤 월드컵보다 많은 시간을 비행기에 서 보내야 할 것이므로.브라질 월드컵은 역사상 두 번째로 큰 나라에서 열리 는 월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06
- 그레이더 교수가 ‘노화 시계’로 불리는 텔로미어를 처음 접한 건 30여 년 전이다. 당시 그의 지도교수였던 UC샌프란시스코의 엘리자베스 블랙번 교수와 하버드 의대 잭 조스택 교수가 텔로미어를 늘리는 효소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논문을 발표했다. 텔로미어(telomere)는 끝(telos)과 부위(meros)라는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05
- Q. 그날 밤 유성은 정말 하나였나?이번 유성현상은 수도권뿐 아니라 강원, 충청, 호남, 영남모든 곳에서 관측됐다. 처음에는 ‘유성우’라는 표현이 나왔다. 그래서 진주에서 발견된 돌이 운석으로 판명되었을 때, 유성을 목격한 장소마다 운석이 있지 않을까 하는 오해가 생겨났다. 실제로 전국 각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05
- 01 누가 동해를 낳고 키웠나?동해를 만든 보이지 않는 손은 누구일까. 누구는 대륙충돌이라고 하고 누구는 동해 하부로 끼어 들어가던 태평양판 때문에 일본땅이 끌려 내려간 것이라고 하는 등 다양한 설명이 있다.대륙충돌설은 4000만 년 전 인도판이 유라시아판에 부딪히면서 엄청나게 큰 힘이 아 ... ...
- 쓰레기매립지 악취, 자동차 연료로 둔갑!과학동아 l201405
- 매립지에서 나오는 가스는 질소가 많이 함유돼 있고 메탄 농도가 낮다. 이 때문에 선진국에서도 고순도 정제가 어려웠다. 국내 연구진이 이를 정제해 자동차 연료로 쓸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박사팀은 기체분리막과 흡착기술을 이용한 막분리 혼성 공정을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04
- 지난 1월 중순 전북 고창군 오리농장에서 시작된 조류인플루엔자(AI)로 지금까지 1000만 마리가 넘는 닭과 오리가 살처분 됐다. ‘AI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은 살처분한다’는 ‘공식’은 언제 정립된 것일까. 인간을 괴롭히는 계절성 독감이 국적을 가리지 않고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게 된 건 최근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