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12
애초
연구자
들이 주장한 측정값이 워낙 작아 재현시키기가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심지어
연구자
자신들도 재현에 실패했다. 상온핵융합은 부정하기도 애매하고, 그렇다고 사실이라고 환호하기도 어려운 기묘한 진퇴양난의 늪에 빠졌다. 영국 원자력에너지연구소는 최초의 주창자들을 직접 데려다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12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하지만 핵융합 방식 가운데 가장 연구가 많이 돼 있고 가장 많은
연구자
들이 몰입하고 있는 방식이 토카막이다. 그만큼 유망하다는 뜻이다. 상용 핵융합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과연 언제 보여줄지 그 시간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머지 않은 시간이지 않을까.이란성 쌍둥이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
수학동아
l
201412
최근 심장을 3차원 수리 모델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우리나라
연구자
에게도 영향을 끼쳤다.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된 수학 이론은 오늘날 자연의 신비한 현상 중 하나인 인체와 질병의 수수께끼를 조금씩 풀어내고 있다. 미래에는 병으로 죽는 사람이 없도록 수학이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11
형광현미경을 만들었다. 두 사람은 ‘단일 분자’ 현미경이라는 새로운 길을 열어젖힌
연구자
들이다. 머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고, 베치그가 실제 현미경 개발에 성공했다. 먼저 베치그부터 살펴보자. 베치그는 1990년대 초에 이미 슈퍼스타 과학자였다. 벨연구소에서 초분해능 현미경의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11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
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11
아직 그런 역사가 짧다. 이제 겨우 한두 명의 후보자나 유망주가 나오고 있다. 긴 시간
연구자
를 기다려주는 문화도 별로 없다. 노벨상이 문제가 아니라, 괜찮은 성과 하나 내기 어려운 환경이지 않을까. 이런 와중에도 분투하며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과학자들이 오히려 대단하다.▼관련기사를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11
보통 직선 모양의 데이터가 나온다. 하지만 종종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데,
연구자
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11
세포 찌꺼기를 분해함으로써 휴면 상태의 광수용체를 깨우는 역할을 한다. 일부
연구자
들은 아직 안심할 수 없다고 경고하고 있지만, 평균 2년에 걸친 이번 임상시험 동안 특별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술 받은 18명 중 13명에서 이식받은 세포가 정상적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10명은 시력이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11
내부에 놓이게 DNA 오리가미를 설계했다. 그리고 여기에 나노 입자를 붙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자
들은 이를 ‘나노로봇’이라고 부르고, 앞으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데 쓰일 것이라 전망했다. 생명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NA가 로봇을 만드는 부품이 된 셈이다.스테이플★ 흔히 호치키스라고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11
비용도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마그네슘 불순물 때문에 품질도 좋지 않았다. 구박받던
연구자
파란색 LED의 선구자가 되다 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이 바로 나카무라 슈지 교수다. 나카무라 교수는 일본 도쿠시마대 졸업 후 1979년 니치아화학공업에 입사해 반도체 개발에 매진했다. 그러나 시장성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