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리
예측
추정
추측
추단
결론
유추
d라이브러리
"
추론
"(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02
조반류 공룡들이 한반도에 서식했던 공룡들과 아마도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론
할 수 있다. 또 중국의 대표적인 육식공룡인 양추아노사우루스도 백악기 전기까지 서식했으므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될 수각류에 속하는 공룡 화석을 양추아노사우루스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01
죽어가는 현대에서 모든 형사들이 경찰서에 앉아 연필과 종이로 사건 정황을
추론
하며 퍼즐을 풀 듯 범인을 잡을 수는 없다. 따라서 피 한방울에서도 결정적인 증거를 얻을 수 있는 과학수사와 법의학의 적용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동네 경찰 아저씨들이 모두 엘러리 퀸은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12
공기 · 불의 4가지 기본 요소를 가정하고 지구의 형태에 관해서는 대칭성에서 구형이라
추론
하고, 지구의 중심을 우주 중심으로서 부동(不動)으로 보았다 5세기 후반기에 활약한 인도의 수학자, 천문학자 그의 저서《Aryabhatiya》에서 후세의 L 오일러와 같은 방법으로 부정방정식 ax±by=c의 정수해를 ... ...
수능 실력 진단해줄 도우미 수학 모델
과학동아
l
200211
모르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다. 하지만 통계학을 이용하면 좀더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지식
추론
통계 연구실에서는 바로 이같이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분할과 통합 거쳐 전체 모습 그려내우리가 접하는 각종 자료는 대부분 불확실한 정보를 ... ...
2. 영재고 진학의 지름길 과학영재교육원
과학동아
l
200210
끝없이 반복하면 어떤 도형이 만들어질지도 질문으로 던진다.학생들은 논리적으로
추론
해서 이 문제의 결과를 얻는다. 그리고 이 결과가 바로 폴란드 수학자 와클로 시어핀스키가 만든 시어핀스키 삼각형이라는 점을 배운다. 이와 함께 수학의 자기닮음 성질을 학습한다.시어핀스키 삼각형은 ... ...
4. 천연 항암물질 찾아내는 생명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209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아냈는데, 최근에는 유기화학, 생화학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추론
을 통해 생합성단계를 밝혀내기도 한다. 일단 생합성단계를 알아내면 각 단계별로 작용하는 효소유전자의 발굴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이뤄진다.첫째, 식물체 추출물로부터 효소단백질을 먼저 분리하고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09
물새가 사는 호수에서 형성됐고, 이후 호수물이 내려가 지면에 노출된 환경을 겪었다는
추론
을 할 수 있었다.이처럼 뜻밖의 상황에서 쉽게 화석이 발견된데 일행은 모두 흥분했다. 경상도 퇴적층에는 백악기 시대의 화석이 풍부함을 보여주고 있다. 김교수는 탐사가 끝난 후 암석 산출지를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08
도면으로 작성했고, 바다 속에 남아있는 배의 부분과 각종 부재를 바탕으로 배의 원형을
추론
해 복원도를 만들기도 했다. 이 경우는 단순히 청자를 건져올린 이번 비안도 해저 유물 인양과는 분명 다르다. 해군 동원된 청자발굴 전투일단 긴급 탐사로 한숨을 돌린 문화재청은 이곳에 고려청자가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08
그래서 뇌를 직접 조사하기 보다는 구조가 훨씬 간단한 다른 생물을 이용해 인간의 뇌를
추론
해 보는 방법을 자주 이용한다.인간의 뇌를 연구하기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는 동물은 파리다. 파리의 뇌 신경세포는 약 105개에 불과하다. 인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단순하다. 그러나 파리는 이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07
통신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수준의 협조행동을 실현하려면 상대의 행동을 미리 예측하는
추론
기능이 필요하다. 이는 개체의 복잡성을 한층 더 가중시키며 유용한 정보를 다른 로봇에게 전달하지 못해 작업효율을 떨어뜨린다. 정보교환 방법에는 적외선 무선통신이 많이 이용된다.자율로봇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