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03
- 헝가리 에오트보스로란드대 동물행동학과 에리코 쿠비니 교수팀은 늑대와 개의 가장 큰 차이는 인간에 대한 관심이라고 밝혔습니다. 사람이 지나가면 개는 졸졸 따라가는 등 관심을 보이는데 반해, 늑대는 허기를 느끼지 않는 이상 무관심하게 하늘만 쳐다본다는 것입니다.같은 대학의 클라우디아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03
- 같다’는 이론적 예측을 확인했다는 의미도 있다. 이 때 연구원들이 만든 측정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 다이오드의 전자에너지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레터스’ 1월호에 발표했다.박 교수는 “스스로 할 수 있어야 유레카의 순간도 경험할 수 있다”며 ...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과학동아 l201703
- 일으키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보다도 생존력이 강하다. 두 바이러스는 구조적으로 큰 차이점이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캡시드 바깥을 지질로 된 막(외피)이 둘러싸고 있지만, 구제역 바이러스는 외피가 없이 캡시드가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그런데 소독제에 대해서는 두 바이러스의 희비가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03
- 최근 뇌를 닮은 컴퓨터 칩, 뉴로모픽 개발 경쟁이 뜨겁다. 뇌신경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칩으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들어가는 엄청난 양의 전력 ... 전자 회로를 이용하는 모든 산업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전자기학에서도 큰 발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Issue] 빈 속에 술 마신 당신 음주거식증 경보!과학동아 l201703
-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단기적 기억상실이 지속된다는 것은 뇌의 기억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 임상강사는 “특히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정신적인 혼란이나 우울증, 기억 상실 등을 일으키는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증후군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03
- 이는 1997년 우리나라가 독감 감시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였답니다.더 큰 문제는 유행이 빨리 시작됐다는 거예요. 최근 5년 동안 독감은 1월 초부터 서서히 유행이 시작됐는데, 이번에는 방학까지 한 달이나 남은 11월 말에 시작됐죠. 이에 정부는 지난 12월 8일 독감 유행주의보를 내리고, 각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03
- 근원지를 찾아 나섰다. 탐사대가 간 곳은 룽타놈 야자나무 농장으로, 펫차부리에서 가장 큰 야자나무 농장이다. 탐사대원들이 방문하자 프라니 숙사왕 아저씨는 팜슈가로 만든 음료를 한 잔씩 대접한 뒤, 탐사대원들을 야자나무 숲으로 안내했다. 야자나무가 멋들어지게 줄지어 서 있었다. 그때 ...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수학동아 l201703
- 바로 양자역학을 지배하는 ‘불확정성 원리’ 때문이다.양자역학이 나오는 데 큰 역할을 한 에르빈 슈뢰딩거.슈뢰딩거 방정식을 만든 공로로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양자역학은 확률의 과학이다. 모든 게 결정이 됐던 기존의 물리학과 다르게 모든 게 확률로 돼 있는 것이다. 미국의 위대한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03
- 알고 보니 1년에 이자를 n번 주면 대략 원래 돈에 (1+¹/n)ⁿ를 곱한 만큼 늘어나더군요. n에 큰 수를 대입해보니 값이 점점 커지지 않고 어떤 수에 가까워진다는 걸 알게 됐어요. 이 값이 바로 무리수 2.718…이었답니다!수에 기호를 붙이지 않아 유명해지지 않은 거라고요? 미적분의 대가 라이프니츠를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03
- 마취에 관한 단행본을 펴냈죠. 수술 및 마취 분야의 독보적인 우리말 교재로 이후 20년 간 큰 영향을 줬습니다. 그의 삶을 연구한 이꽃메 상지대 간호학과 교수는 논문에서 “마취의사가 거의 없던 시기에 박명자, 간호장교로 교육받아 초기 마취간호사로 활동했던 이종선 등 간호사가 기여한 역할이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