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
과학동아
l
201602
커졌을 때는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계산했다. 결과는
태양
질량의 약 500억 배.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500억 배에 이르면 더 이상 먹어치울 것이 없어 성장을 멈춘다는 뜻이다. 킹 교수는 영국 과학매체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블랙홀은) 다른 블랙홀과 병합하지 않는 한 질량의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
과학동아
l
201602
내에서 유일하게 물과 생명을 가진 행성이 될 수 있었던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우리
태양
계 밖에서 지구형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근거가 될 부분이기도 하다. 앞으로 2년 동안 아카쓰키는 인류의 유일한 금성탐사선으로써 이런 중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미국은 벌써부터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02
셈이다. 캐나다 맥길대 기계공학과 제프리 베르그토르손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
태양
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데 비해 금속연료는 언제든 쓸 수 있다”며 “대규모 송전망을 설치할 필요 없이 화물선에 실어 수출입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금속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02
수는 없었지만, 작은 우주선과 정보를 전달할 수는 있었다. 그 덕분에 인류는 좁디 좁은
태양
계에서 벗어나 우주로 진출했다. 그 과정은 케플러 64의 3행성에 등대를 관찰할 기지를 세운 과정과 다르지 않았다. 먼저 우주선보다는 드론에 가까운 무인기들을 보내고 관찰한다. 그 다음 코드 중계기와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과학동아
l
201601
분석한 결과 폭발한 백색왜성의 동반성이
태양
보다 수백 배 큰 적색거성이 아니라
태양
크기와 비슷한 보통 별임이 밝혀졌다. 임 교수는 “초신성을 이용하는 우주 팽창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1
열전도도가 낮아 내부 온도를 계속 유지시킨다. 솜털 모양이 아닌 3~4층 구조의 충전재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해 열에너지로 활용하는 충전재도 개발됐다. 박윤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특히 섬유소재에 금속입자를 코팅해 보온효과를 주는 새로운 충전재가 각광받을 것”이라며 ... ...
[News & Issue]일본 금성 탐사선, ‘재수’로 궤도 진입
과학동아
l
201601
금성으로부터 400~44만km를 공전하는 타원궤도에 들어설 수 있었다.일본은 이번 성공으로
태양
계 행성 주위를 도는 탐사선을 처음으로 갖게 됐다. 아카쓰키는 최대 시속 300km의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금성의 두꺼운 구름을 관측할 예정이다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
수학동아
l
201601
황도12궁과 관련지어 우주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봤다.이후 케플러는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돈다고 믿었고, 이 행성들의 궤도를 설명하기 위해 정다면체를 궤도를 포함하는 구면에 내접시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비록 케플러의 설명에는 큰 오류가 있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기하학을 통해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과학동아
l
201601
원자핵 붕괴를 일으키는 힘으로, 전자기력보다 세기가 약해 약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태양
에서 수소원자의 핵이 융합해 큰 에너지를 내는 과정에 약력이 관여한다. 또 지구 내부에서는 칼륨-40을 비롯해 다양한 동위원소(원자핵 속에 양성자보다 중성자가 더 많은 원소)가 붕괴돼 지구의 맨틀을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01
2층 건물의 바닥 면적만 9만3000m2, 축구 경기장 13개를 합쳐놓은 크기만 하다. 지붕엔
태양
전지를 설치해 건물 전체가 은빛으로 번쩍거린다.DNA 분자 구조를 공동으로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의 이름을 따서 설립된 크릭 연구소는 런던 도심 한 가운데 설립돼 개발 초기부터 큰 화제가 됐다. 영국에서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