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무리를 군체라고 해요. 군체 안에서 어떤
개체
는 먹이를 먹는 역할을 하고, 또 다른
개체
는 생식을 맡는 등 마치 하나의 생물인 양 서로 역할 분담을 해 함께 살아간답니다.연구팀은 가장 바깥쪽 동그라미를 이루는 군체의 길이를 약 47m로 추정했어요. 이를 바탕으로 전체 길이를 추산하면 120m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피부가 크게 부어오르고 가려움도 심합니다. 이희일 질병관리본부 감염병분석센터 매
개체
분석과장은 “산이나 바다에 사는 모기의 감염력이 큰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 못해 면역 반응이 활발히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포토뉴스] 흰머리오목눈이 무리는 왜 서로를 피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데이터와 가장 가까워지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만든 방정식을 분석해보니 무리에 속한
개체
수가 적을수록 다른 무리와 만나길 싫어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동물생태학’ 온라인판 8월 10일자에 실렸습니다.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펭귄의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에
개체
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남극 생태계를 이해하는 열쇠, 식물플랑크톤펭귄 서식지는 남극 대륙 주변 바다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와도 관련이 깊다. 사실 펭귄뿐만 아니라 남극 생태계 전체를 이해하는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당 기간
개체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빠른 시간에
개체
수가 감소하며 멸종됐음을 보여주는 증거다.유전체에서는 피부 온도 수용체와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흔적도 발견됐다. 이 돌연변이로 빙하기의 추위에도 적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만4700~1만2700년 전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겨울을 나기 위해 몽골에서 한국으로 날아옵니다. 특히 한국까지 오는 독수리들은 어린
개체
가 많은데, 어릴수록 경쟁에서 밀려 더 먼 남쪽까지 오는 거죠. 한반도가 독수리 이동지의 남쪽 끝이기 때문에 탈진 상태의 독수리도 많아요. 이렇게 쓰러진 독수리들은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한 뒤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루 동안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내려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바이러스의
개체
수는 세균보다 평균 약 50배 많았고, 지역에 따라 최대 461배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렇다면 공기가 없고 방사선이 가득하며 기온이 극과 극을 오가는 우주 공간에도 이런 바이러스들이 살고 있을까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탈출에서 성공하면 다음 목표는 무사히 체외로 빠져나오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개체
의 숙주세포를 인질 삼아 증식을 이어갈 수 있다. 이때 가장 큰 적은 인체의 면역시스템 이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면역세포를 공격하거나 면역반응 기작을 억제하는 등 저마다 전략을 구사하며 면역시스템을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정확히 왜 그런지 밝혀지지 않았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어린
개체
가 성체가 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생존법을 익힐 때 수면을 필요로 한다는 추측이 가능해졌어. 연구팀은 우리 초파리가 날 때뿐만 아니라 먹이를 구하고 짝을 만나고, 위기에서 벗어날 때 등의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장 중점이 된 기술은 순수배양이었다. 한 종의 바이러스만 분리하고 배양해 다수의
개체
를 확보하면 그 바이러스의 구조나 병원성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로 삼는 세포를 먼저 배양한 다음, 그 위에 바이러스를 심어 증식시켰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