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부검을 통해 밝힌 사인은 해양보호생물의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원인을 밝히는 자료가 된다. 부검 결과는 현재 바다의 상황을 유추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이기도 한다. 공동연구팀은 1월 제주 해상에서 죽은 채 발견된 참고래 공동부검을 ... ...
[포토뉴스] 흰머리오목눈이 무리는 왜 서로를 피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데이터와 가장 가까워지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만든 방정식을 분석해보니 무리에 속한
개체
수가 적을수록 다른 무리와 만나길 싫어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동물생태학’ 온라인판 8월 10일자에 실렸습니다.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펭귄의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에
개체
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남극 생태계를 이해하는 열쇠, 식물플랑크톤펭귄 서식지는 남극 대륙 주변 바다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와도 관련이 깊다. 사실 펭귄뿐만 아니라 남극 생태계 전체를 이해하는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당 기간
개체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빠른 시간에
개체
수가 감소하며 멸종됐음을 보여주는 증거다.유전체에서는 피부 온도 수용체와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흔적도 발견됐다. 이 돌연변이로 빙하기의 추위에도 적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만4700~1만2700년 전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피부가 크게 부어오르고 가려움도 심합니다. 이희일 질병관리본부 감염병분석센터 매
개체
분석과장은 “산이나 바다에 사는 모기의 감염력이 큰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 못해 면역 반응이 활발히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겨울을 나기 위해 몽골에서 한국으로 날아옵니다. 특히 한국까지 오는 독수리들은 어린
개체
가 많은데, 어릴수록 경쟁에서 밀려 더 먼 남쪽까지 오는 거죠. 한반도가 독수리 이동지의 남쪽 끝이기 때문에 탈진 상태의 독수리도 많아요. 이렇게 쓰러진 독수리들은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구조한 뒤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정확히 왜 그런지 밝혀지지 않았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어린
개체
가 성체가 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고 생존법을 익힐 때 수면을 필요로 한다는 추측이 가능해졌어. 연구팀은 우리 초파리가 날 때뿐만 아니라 먹이를 구하고 짝을 만나고, 위기에서 벗어날 때 등의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집단의
개체
수가 일정 수준을 넘어야 한다.
개체
수가 너무 적으면 바이러스가 다른
개체
로 전파되기 전에 사라진다. 그런데 멕시코자유꼬리박쥐(Tadarida Brasiliensis)의 경우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0cm인 작은 공간에 약 300마리가 모여 잠을 잔다. 숙주가 엄청난 밀도로 모여 사는 셈이다. 이는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장 중점이 된 기술은 순수배양이었다. 한 종의 바이러스만 분리하고 배양해 다수의
개체
를 확보하면 그 바이러스의 구조나 병원성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로 삼는 세포를 먼저 배양한 다음, 그 위에 바이러스를 심어 증식시켰다.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루 동안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내려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바이러스의
개체
수는 세균보다 평균 약 50배 많았고, 지역에 따라 최대 461배까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렇다면 공기가 없고 방사선이 가득하며 기온이 극과 극을 오가는 우주 공간에도 이런 바이러스들이 살고 있을까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