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리
제거
절단
분할
단절
고립
은퇴
d라이브러리
"
격리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논쟁에서 '진화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종분화는 소규모의 고립된 지역에서 생식적
격리
를 통해 신속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 변이된 종의 수가 극히 적고 쉽게 도태되기 때문에 화석으로 남지 않았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수많은 단계의 전이가 모두 신속하게 이뤄져 화석화될 시간적 여유가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실려 있으니 이를 참고할 수 있다.하와이섬의 생물상이 대륙과 다른 것은 오랫동안
격리
된 상태에서 독립된 진화를 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생물의 지리적 분포는 대륙과 해양의 지질학적 변동과 생물의 역사를 반영하는 것이다. 이 현상을 '생물학자들이 편리하게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문제다. 도서지역의 생태계는 내륙지방과는 달리 매우 취약하기 마련이다. 오랫동안
격리
돼 있어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흔들리는 것이 섬지방의 생태계다. 오늘날 사라져가는 조류 중 3분의2가 도서지방의 텃새라는 보고는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도서조류의 절종은 인간에 의해 무심코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메뚜기 7종의 염색를 조사했다. 그는 이들 염색체의 재배열이 단시일내에 생식적
격리
를 유발시켜 신종으로 분화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는 점진적 진화가 아니고 급격한 진화의 결과라고 해석했다.또 부시는 군집생활을 하는 얼룩말을 대상으로 염색체의 변이와 종 형성 관계를 연구했다. 그 결과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매우 적고 따라서 핫 스폿들을 설명하기엔 충분치 않을는지 모른다.한편 바이칼 호수는
격리
된 생물 군집으로서 거기엔 그 호수 특유의 많은 식물과 동물체들이 있다. 1,200개가 넘는 종(種)이 호수속 각기 다른 층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분의 3은 지구상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것들이다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진화의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특히 종(種)분화는 소규모의 고립된 지역에서 생식적
격리
에 의해 가장 신속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화석기록을 거의 남기지 않는다. 왜냐하면 화석은 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풍부한 개체들 가운데 일부가 남는 것이지 작은 규모의 개체군이 화석으로 넓은 지역에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한 축도에 지나지 않는다. 다중구조사회란 예로 든 공장노무자들의 경우처럼, 서로
격리
된 다른 기능집단이나 신분층의 인간관계 구조를 유지하는 사회를 말한다. 다른 집단 내지는 계층에 대해서는 일체 상관하지 않고, 오직 자신이 놓인 집단세계의 질서와 구조를 유지하는데만 관심을 갖도록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이다.또 이러한 조정이 여러 우주들(우리가 직접 관측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격리
된 우주들) 사이에 있음직한(?) 벌레구멍들의 연결이 과거에 이루어져서 우리 우주의 현황을 나타낸다는 견해도 등장하고 있다.하여튼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많은 문제를 해결해준 한편 하나의 더 큰 숙제를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다는 점이다. 앞서 언급했던 단종법 이민법이 이에 근거해 이루어졌고 흑인들의
격리
나 인체실험 등이 IQ 테스트로 합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IQ 논쟁은 우생학 사상, 스펜서의 사회 진화설과 같은 이데올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그치지 않는한 계속될 것이다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감기를 앓고 있는 사람은 되도록이면 집에서 쉬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첫째 환자가
격리
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 둘째는 안정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기증상이 10일 이상 되어도 좋아지지 않거나 평소 기관지염 중이염 등을 자주 앓아 왔던 사람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