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장
대가
남편
주인
마스터
달통
명인
d라이브러리
"
달인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명절이다. 어린 시절 필자는 정월대보름날 뜨는 달이 1년에 뜨는 보름달 중 가장 큰
달인
줄로만 알았다. 명절 이름에 대보름이라고 적혀 있으니까.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대보름날 가장 큰 보름달이 뜨는 게 아니었다. 그 사실을 알았을 때 얼마나 슬프던지.올해의 정월대보름은 좀 특별하다. 이 ... ...
스타쉽 트루퍼스(Starship Troopers)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갖고 있었지만 별로 원치 않던 보병으로 차출된다. 훈련캠프에 입소한 그는 격투기의
달인
인 짐 교관을 만나면서 혹독한 훈련과정을 겪게 된다. 힘겨운 나날들이 하루하루 이어지면서 이탈하는 훈련병들이 속속 나왔지만 조니는 참고 견뎌냈다.실탄이 장전된 화기와 장갑강화복을 착용하고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맥락이 다른 두 개의 언어를 서로 완전하게 뜻이 통하도록 100% 번역하는 일은 번역의
달인
이라 할지라도 불가능한 일이다. 미국인들이 지시하는 ‘tree’라는 말이 한국인들이 지시하는 ‘나무’라는 말에 완전하게 대응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번역기에 매달리는 사람들은 하나의 문서를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비밀로 해왔던 달에서 발견된 정체불명의 선돌에 대해 얘기를 한다. 그리고 토성의
달인
제이페투스를 탐사하라고 말한다.동면에 들었던 죽은 세사람은 선돌에 대해 이미 알고 있었다. 그들에게는 별도의 특수 임무가 있었으며, 그 모든 사실을 할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우주선을 조종하는 책임을 ... ...
1. 과학이 제시한 16강 비책 5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 축구에도 너클볼 있다 - 프리킥은 절대 운수소관 아니다하석주 선수의 별명은 '왼발의
달인
'이다. 드리블을 하면서 왼발을 잘 쓰기도 하지만, 그의 왼발은 특히 정지된 상태에서 프리킥을 찰 때 위력을 발휘한다. 월드컵 예선 동안 한국팀이 골 에어리어 근처에서 얻은 프리킥은 거의 대부분 그의 ... ...
3. 역사 속에서 사라진 날짜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임의대로 정했졌던 것이다.그 후, 악명이 높던 네로 황제는 이들을 본따 4월을 자신의
달인
네로네우스(Neroneus)로 고쳤지만, 네로 황제의 사후에 다시 본래의 명칭으로 되돌아 왔다. 1년에 11분, 1천년에 10일 차이율리우스력에서 채택한 1년의 길이는 실제의 1년 길이인 365.2422일에 비해 0.0078일이 길다.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약 10년이 지나면 6월로 옮겨지고, 34년 정도 지나면 다시 2월로 되돌아 온다. 여름의
달인
음력 7월은 겨울이 되기도 하고 봄이 되기도 한다.계절의 변화와 음력 달의 명칭이 일치하지 않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춘분을 항상 2월달에 오도록 하고, 추분은 8월달에 오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먼저 ... ...
20세기 슈퍼영웅 대해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다른 사람이 성질을 가라앉히 기 어려움. 분노에 의해서만 움직임배트맨 범죄심리의
달인
■일명: 어둠의 기사■성격: 밤에만 활동. 선을 보호하고 악을 물리치는 일에 강하게 집착하고 우울증 증세를 보임■능력: -범죄심리학의
달인
.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탐정-최고의 스포츠맨-모든 형태의 육체적 ... ...
웹이 가진 10가지 문제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참을 인(忍)’의 미덕을 실천하고 있는 거의 ‘
달인
’에 가깝다. 한창 접속이 몰릴 때는 홈페이지도 뜨지 않고 무작정 ‘대기’만 하고 있을 경우도 허다한 실정.그런대로 접속이 잘되는 밤시간이나 새벽에도 원하는 페이지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무한정 기다려야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전 문화의 전수가 쉽게 이루어지는 독특한 학교 분위기가 서로 작용해 '컴퓨터
달인
'이 양산된 것이다. KAIST의 경우 학사경고 3번이면 자동 퇴학되는 학칙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학교를 나가는 학생이 1년에 대략 15명선에 이른다. 이중 머드나 해킹 등 컴퓨터에 빠져 학점을 채우지 못하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