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쿄"(으)로 총 5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쥐, 인간을 구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연구를 할 수 있겠죠. 어서 빨리 한국에도 마우스 병원이 들어설 날을 기대할게요. [일본 도쿄대 생물물리학 및 생화학부의 사카노 히토시 교수는 냄새를 못 맡는 쥐를 만들었다. 이 생쥐는 천적을 만나도 두려움을 느끼지 않았다. 동물이 주로 후각으로 공포감을 느낀다는 학설을 증명한 것이다. ...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주로 꼬치 튀김이나, 기름에 볶아 먹는다. 일본에서도 곤충 요리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도쿄에는 매달 ‘곤충요리 시식회’가 열리는데, 번데기 카레, 매미 칠리소스 무침, 말벌유충 요리 등이 인기가 높다. 이처럼 곤충은 이미 세계인이 즐겨먹는 음식 재료가 되었다.곤충의 영양가, 백점 만점에 ...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시험용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해 철도 역사상 가장 빠른 581km를 기록했다. 일본은 앞으로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530km거리를 50분에 달릴 수 있는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할 계획이다.우리나라는 어떨까. 한국기계연구원이 2010년 5월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를 공개했다. 2013년부터 인천국제공항 6.1km 거리에서 ...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위력은 땅을 타고 전달된다. 지진이 발생하고 불과 몇 초 만에 일본 전체가 흔들거렸다. 도쿄에서는 건물이 흔들리고 천장이 무너져 졸업식을 하던 학생들이 다쳤고, 전기가 끊어져 지하철이 멈추고 통신도 끊어졌다. 하지만, 9.0이라는 지진의 큰 규모에 비해, 지진 자체의 강도는 최근에 일어났던 ...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4월 21일 기준) 마찬가지다.이런 사실은 원자력 전문가들의 계산에서도 확인된다.[일본 도쿄에서 수돗물의 방사능 수치가 높아지자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줄 생수를 사고 있다. 아무리 방사능이 약해도 일반인들에게는 먹을거리 문제가 심각하게 느껴진다.]후쿠시마 원전에서 연료봉이 모두 녹고, 이 ...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알 수 없다. 그래서 연구실에서는 항공기를 이용한 대기 관측도 하고 있다. 2009년에 일본 도쿄대와 함께 항공기로 서해상의 에어로졸을 측정해 예측 모델로만 추정했던 서해상의 공기오염을 확인했다.라이다 역시 고도에 따른 에어로졸의 분포를 관측하는 데 쓰인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쏜 뒤 물체에 ...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경우 확률은 1/3이다. 왜냐하면 경우의 수가 세 개뿐이기 때문이다. 최근 필자는 일본 도쿄대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양자 질라드 엔진의 작동원리를 연구해,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논문을 출판했다. 이 결과는 미국물리학회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 피직스(physics.aps.org)에 하이라이트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수직으로 연결된 지구 표면의 지점은 ‘진앙’이라고 하며, 이번 지진의 진앙은 일본 도쿄에서 북동쪽으로 373km 떨어진 곳, 즉 일본 센다이 해안에서 130km 떨어진 바다 위다. 진원과 진앙 사이의 거리를 ‘진원 깊이’라고 하는데, 이번 지진의 진원 깊이는 24.4km다. 지진학자는 지진파를 분석해 이런 ...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넘는 온도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2008년에는 일본 도쿄과학기술원 연구팀이 철을 기반으로 한 초전도체를 발견해 물리학계를 다시 크게 흔들었다. 이 새로운 초전도체는 1986년에 발견된 산화구리 기반의 고온초전도체보다 온도가 높지는 않았다. 철 기반의 ...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문제가 불거졌던 나노기술이 최근 ‘친환경’으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2월16일부터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 최대 나노기술 전시회 ‘국제 나노테크 2011’에서는 참가한 기업 두 곳 중 한 곳이 홍보부스 앞에 나뭇잎 모양의 녹색 마크를 달고 있었다. 친환경적 제품이나 기술을 전시하고 있다는 것을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