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건"(으)로 총 1,9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슬기로운 온라인 수업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수 있으니까요. 또 허락 없이 수업자료를 다른 사람에게 넘기거나 인터넷에 올리는 것은 물건을 훔치는 것과 똑같아요. 그 자료는 만든 사람의 노력이 담긴 소중한 재산이기 때문이죠. 온라인 수업에서 궁금한 것이 있을 때는 어떡할까요? 만약 선생님과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만나고 있다면 ... ...
- [특집] 수학으로 판다! 마트의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꾸르륵. 아, 배가 갑자기 살살 아파. 이건 분명 똥신호!어쩌지…. 겨우 찾은 화장실엔 휴지가 하나도 없네?꾸르르륵. 똥아~! 조금만 기다려줘! 저기 마트에 ... ! 어느 쪽이 더 저렴할까?Part3. [특집] 한 줄 서기 vs 여러 줄 서기, 얼른얼른 빨리빨리~!Part4. [특집] 물건 집어 쓱~ 나오는 편의점 ... ...
- [특집] 헷갈린다, 헷갈려~! 어느 쪽이 더 저렴할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때가 많지요. 30% 할인한 휴지는 1개당 가격은 조금 더 비싸지만 내가 원하는 개수만큼만 물건을 살 수 있어요. * 용어설명‘%(퍼센트)’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기호예요. 전체를 100으로 생각했을 때 비교하려는 양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나타내지요. 예를 들어, 30%를 분수로 표시하면 30/100과 같아요 ... ...
- [특집] 물건 진열의 원리, 인기 제품은 ‘골든존’으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수학! 김선영 홈플러스 디스플레이(진열)팀 팀장 고객들이 최근 1~2년 동안 어떤 물건을 샀는지, 무엇을 함께 샀는지, 다음 방문 때는 어떤 제품을 샀는지 조사한 데이터를 자세히 분석해요. 이를 통해 고객이 어떤 쇼핑 습관을 갖고 있는지, 구매하는 제품들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등을 찾아내 ... ...
- [특집] 한 줄 서기 vs 여러 줄 서기, 얼른얼른 빨리빨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하지 않을까요? 독일의 유명 수학자 크리스티안 헤세는 “사람들이 줄을 오래 서면 물건을 하나라도 더 살 수 있기 때문에 마트는 일부러 한 줄 서기를 활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어요. 또 마트 안에 한 줄 서기를 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서이기도 해요. 기다림을 계산하라! 신동윤 서울시립대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식품의 원산지와 유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했어요. 물건에 사물인터넷(IoT) 태그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원산지나 유통기한 등의 데이터를 받아 블록체인에 업데이트시키는 데 활용했죠. 앞으로 점차 식품 추적을 통해 소비자는 물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고, 또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또는 이미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대변이나 구토물을 통해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접촉해도 전염될 수 있답니다.노로바이러스에 걸리면 1~2일의 잠복기를 거치고 이후 구토나 설사, 발열,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요. 예방법은 어패류는 완전히 익혀 먹고 손을 깨끗이 씻으며, 감염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있다. 일례로 북한의 백화점인 미래상점에서 과학자는 3000원으로 700유로(95만 원 상당)의 물건을 살 수 있다. 본의 아니게 재활용, 본의 아니게 친환경 북한의 과학기술 중시사상은 김정일 집권 때부터 본격화됐다. 과학기술 수재교육을 시작했고, 과학자들을 우대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최 ... ...
- [만화 뉴스] 5개로는 부족해? 로봇 손가락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20명은 로봇 손가락을 장착하고 5일간 일상을 보냈어요. 그 결과 참가자들은 더 많은 물건을 들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등 로봇을 새로운 신체로 쉽게 받아들였죠. 연구팀은 “로봇 손가락을 사용할 때 활성화되는 뇌파의 패턴이 다른 손가락을 사용할 때와 비슷했다”며 “한 손으로도 다양한 일을 ... ...
- [이달의 과학사] 1974년 6월 26일 삐빅! 첫 번째 바코드 찍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새로 설치했죠. 이때 처음으로 바코드를 찍은 물건은 껌이라고 해요.지금은 전 세계 모든 물건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바코드는 발명이 바로 세상을 바꾸지는 않는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예랍니다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